한국뉴스
정부 원전 정책 혼선에 업계 ‘탈원전 부활’ 우려…최소 15조 손실 전망
페이지 정보
본문
정부의 원전 정책이 혼선을 빚으면서, 원전업계에서는 다시 탈원전 기조가 부활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단순 계산으로도 최소 15조 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오는 2038년까지 국내에 원전 2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를 건설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이재명 대통령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신규 원전 건설 재검토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계획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습니다.
증권가에서는 건설비만 약 15조 원이 증발하고, 투자 회수 지연과 자금 조달 부담이 원전 업계를 강타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원자력 관련 학계와 한국수력원자력 노조도 강하게 반발하면서, “재생에너지 확대가 국부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문제는 해외 수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체코 원전 본계약을 따내며 유럽에서 주목받던 한국 원전은,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적재산권 분쟁 합의로 유럽 추가 수주 길이 사실상 막힌 상황입니다. 여기에 다시 탈원전 움직임까지 겹치자, 외신들은 “한국은 정권에 따라 정책이 뒤바뀌는 불안정한 나라”라며 신뢰성 저하를 지적했습니다.
한편 원전업계는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 있습니다. 신시장으로는 미국, 신사업으로는 SMR을 본격 공략하고 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 뉴스케일과 함께 54조 원 규모 프로젝트의 핵심 기자재 공급사로 자리매김했습니다.
Copyright ⓒ 달라스 코리안 라디오 www.dalkor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