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기/획/칼/럼 [전문가에게 듣다] “코로나 19와 정신건강”

0

코로나 19 (COVID-19)

2022년 임인년, 코로나 19가 전 세계로 확산된 지 3년째로 접어들고 있는 해이기도 하다. 

미국은 현재 하루에 135만 건의 감염 사례를 보고하고 있으며 누적 사망자가 84만명을 넘어섰다. 

로이터 집계 (Reuter tally)에 따르면 2022년 1월 3일 미국에서 보고된 103만명의 코로나 감염 사례가 모든 국가들의 총계 중 가장 높은 기록이라고 한다. 

특히 오미크론 변종으로 인해 입원환자 수도 미국에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한다. 

2021년 의료 및 생활 전반에 걸친 회복을 위한 무수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를 위한 회복이 아직도 절실하기만 하다. 

미국의 예산 및 정책 우선순위 센터(Center on Budget and Policy Priorities)의 보고에 따르면 2020년 4월 미국의 비 고용률이(15%) 1930년 이후 최고치를 찍은 후, 지금은 5% 미만으로 내려와 회복을 한 듯 보이나, 아직 많은 사람들이(약 30%) 경제적인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8명 중 1명이 가족이 충분히 먹을 만한 음식이 없다고 보고 했으며, 임대 주택에 거주하는 성인 세입자의 16%가 임대료를 내지 못했다고 보고했다. 미국 정부는 일자리를 추가하기 위해 많은 노력했지만 여전히 일자리가 부족한 상태이며, 특히 팬데믹 위기 속에서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의 대부분은 평균 임금이 낮은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로 발표됐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피해를 입고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의 대부분 흑인 및 히스패닉계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코로나-19는 이미 이전에도 존재했던 인종 간의 불평등에 밝은 빛을 비춘 것과 같습니다.”

2022년에 들어서 미국 정부는 다시 건강과 사회 복지의 회복을 위한 계획을 재정비해야 할 것이다. 

코로나 19에 대응하기 위해 필수 서비스 등을 제한한다거나 경제 활동에 급정거를 걸기보다는 코로나 19 환자뿐만 아니라 일반 건강 진료를 위한 환자들을 위하여 전반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회복시켜야 한다. 

더 나아가 정신 건강 서비스를 강화시켜서 코로나 19로 인해 크게 피해 받은 사람들을 돕고, 이미 건강 불평등을 경험하고 있는 소수 인종들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진단된다. 

 

정신건강 

코로나 19와 함께 수년간 계속되고 있는 각종 어려움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급성 스트레스 증상 및 우울증을 겪고 있다. 

성인들은 일자리를 잃고 경제적인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어린 학생들은 예전처럼 학교에 다니거나 친구들과 교우할 기회가 적어지면서 꾸준히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었고, 특히 코로나 19에 가장 취약한 노인들은 주변 사람들 및 가족들로부터 오랜 시간 고립되면서 육체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 위기를 경험하게 됐다.  

2022년에는 정신건강 및 자기개발에 대해 보다 자비로운 시선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새해가 되면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새롭고 발전된 나의 모습’을 위하여 수십 개의 목표를 세우고 목적지를 향해 질주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게 마련이다. 

올해에는 이러한 고전적인 새해 전통에서 벗어나 자기 자신에게 보다 친절하게 대하며,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일들을 생각해 보기를 바란다. 

남들과 비교하며 내가 어떻게 더 잘할 수 있을까 생각하기보다는 나 스스로에게 적합한 일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필요한 경우에는 전문가의 지원을 요청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주변 사람들을 챙기는 것을 강조한다. 

특히 어린이, 청소년들이 사회적·정서적으로 잘 자랄 수 있도록 더욱더 많은 관심을 갖고, 주변의 소외된 노인들에게 각별한 관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더 나아가 우리 지역사회에서 소규모로 사업을 하는 이웃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도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경원(Kathy Lee) PhD, LMSW 

사회복지학과 교수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텍사스 알링턴 주립대학, 사회복지학과에서 조교수로 근무하고 있는 이경원 박사는 노년학을 전공하고 있다. 특히 소외된 노인들과 가족의 정신건강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며 약 26개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박사는 텍사스 주 면허가 있는 사회복지사로서 개인들에게 온라인으로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Hot

인기 텍사스 한인 사회 ‘쑥쑥’ 성장 보고서

2022년 아메리칸 커뮤니티 서베이, 텍사스 한인 인구 13만 4천 이상텍사스 한인인구 증가 … 뉴욕, 일리노이, 뉴저지, 펜실베니아는 증가 둔화세텍사스 한인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 더보기
New

새글 제21기 민주평통 달라스협의회 ‘오원성 신임 협의회장 체제’로 출범

14~15기 민주평통 북미주 부의장 역임한 김영호 회장, 제21기 미주 직능 운영위원으로 활동 예고‘2023년 하반기 사업 계획’ 보고 … “2023년 청소년 평화통일 그림 공모전… 더보기
Hot

인기 [전격인터뷰 / 종합 물류 운송 회사 HOW 이승호 회장] “준비가 성공의 기회를 만든다”

북텍사스 한인 사회가 급속하게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한인 차세대 기업인들의 역량 또한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과거 제조업, 소매업에 치중되어 있던 북텍사스 한인 경제… 더보기
New

새글 안개 속을 헤매는 연준

기준금리 5.25∼5.50%로 일단 동결 … 연준 연내 한차례 소폭 추가 인상 사실상 예고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 20일(수)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매파… 더보기
Hot

인기 달라스 볼링협회 주최 제33회 론스타배 중남부 볼링대회 성료

달라스 볼링협회(회장 구본성) 주최한 제33회 론스타배 중남부 볼링대회가 지난 16일(토) 오후 1시 루이스빌 AMF 볼링장에서 개최됐다.달라스 볼링협회는 매년 론스타 배 중남부 … 더보기
New

새글 달라스 한국노인회 ‘9월 정기월례회’ 성료

달라스 한국노인회(회장 오흥무)가 지난 16일 9월 정기월례회를 달라스 한국노인회관에서 개최했다.70명의 달라스 한국노인회 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정기월례회에서 회칙 개… 더보기
New

새글 10월 취업이민 소폭 진전, 가족이민은 대부분 동결

새 회계연도 첫 달 영주권 문호에서 취업이민 문호가 소폭 진전했다. 가족이민 문호는 대부분 동결 상태를 유지했다.연방 국무부가 지난 15일 발표한 2023년 10월 중 영주권 문호… 더보기
New

새글 촉타후 카지노 & 리조트, 행운의 ‘중추절 문 페스티벌’ 연다

촉타후 카지노 & 리조트(Choctaw Casino & Resort)에서 중추절문페스티벌(Mid-Autumn Moon Festival)이 열린다.중추절은 보름달 아래… 더보기
New

새글 ASQ 한인금연센터, “한가위에 담배 끊고 새로운 삶 시작하자”

오는 29일(금)은 음력 8월 15일로 한가위 추석이다.이번 추석, ‘금연’이라는 바람이 있다면 ASQ 한인금연센터가 금연 성공과 건강하고 행복한 미래를 위한 좋은 도우미 역할을 … 더보기
Hot

인기 8월 美 CPI 3.7% 연준, 또다시 긴축 고삐 조이나?

8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에 연내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 커져…휘발유가격 10.6%↑, 물가상승 절반 견인…인플레 압박 지속할듯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다시 고개를 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