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 접시

0

다용도실에 쌓여있는 오래된 크리스탈 접시들을 꺼내놓고 보니 시즌 접시가 꽤 되었다. 오래 전 포트워스 다운타운엔 유명한 디너웨어 아웃렛이 있었다. 

크리스마스 시즌이 되면, 온 동네 아줌마들이 우르르 몰려가서 레인디어나 크리스마스트리가 그려져 있거나, 천사가 나팔을 불고 있는 크리스탈 접시들을 사곤 했다. 누군가 ‘아, 이 접시 이쁘네’ 하면 약속이나 한 듯이 똑같은 접시를 사서 집집마다 장식을 해놓고, 볼 때마다 거저주운 것처럼 세일 가격을 자랑하곤 했다.

그 중 성모 마리아가 아기예수를 안고 있는 대형 크리스탈 접시는 세월이 흘러도 여전히 잘 구입했다 싶은데, 크리스마스 시즌이 되니 유독 그 의미가 더 크게 다가온다.

 

중세에 그림 좀 그린다는 화가치고 성모자상을 그리지 않은 화가는 드물다. 성모자상은 화가들의 숫자만큼이나 다양한데, 우리동네 킴벨 뮤지엄에도 유명한 성모자상이 몇 점 있다.

도나첼로부터, 조반니 벨리니 등 헌신적이고 자애로운 표정의 어머니부터 이기적이고 자신의 욕망에 충실해보이는 차가운 어머니상까지 다양한 성모자상이 있다. 

당시에도 화가들은 완벽하지 못한 세속의 모자상을 더 일찍 정확한 눈으로 간파해서 실존과 이상의 차이를 일찌감치 깨우치게 했던 것 같다. 때로는 그 간격이 너무 커서 위태롭기도 하지만, 어쨌든 인류는 저 2,000년 전부터 이상적인 모성성을 갈구해왔다.

일예로 화가 조반니 벨리니의 성모자상을 보면, 엄마의 표정이 좀 냉정하고 샐쭉해 보인다. 아기의 표정 역시 엄마에게 사랑을 느끼는 얼굴이라기보다는, 좀 어색하고 어정쩡하다. 평소 우리가 아는 모자관계의 이상적인 패러다임이 아니다.

그는 베네치아파 화가로 성모자상을 잘 그리기로 당대에도 유명했는데, 그의 그림이 그렇게 된 데에는 연유가 있다. 일찍 어머니의 부재를 맛 본데다가 그의 어머니는 조반니를 싫어해서 유언에도 그의 이름을 남기지 않았다고 한다. 이렇게 거세당한 모정은 평생 그를 따라다니며, 부정적인 여성상을 그리게 만들었다.

 

엄마라는 존재는 천사가 너무 바빠서 준 역할이라는데, 요즘 세상의 모성을 보면 그렇지도 않다. 자식을 몰래 낳아 유기하거나, 굶어죽게 만드는 젊은 엄마도 있고, 키우지도 않고 권리부터 주장하는 뻔뻔한 엄마들에, 너무 과해서 자식을 평생 유아기 마마보이로 살게 하는 엄마들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아는 한국 엄마들은 자식을 위해서라면 웬만한 희생은 즐거움으로 아는 엄마들이 대부분이어서 그나마 다행이다.

 

해마다 대림절이 되면 꼭 읽게 되는 루가복음의 한 구절(루가 1:39-45)을 난 좋아한다. 마리아가 유다산골에 있는 엘리사벳을 찾아가는 것으로 시작되는 이 복음은 설레임으로 가득하다. 문장도 시적이어서 한 장면 장면이 머릿속으로 다 그려진다.

산악지방이니 임신한 몸으로 나귀를 타고 가는 것이 얼마나 힘들었을까 싶은데, 마리아는 힘든 내색 하지 않고, 사촌언니를 만나러가는 기쁨에 들떠있다. 주님의 어머니를 맞이하는 사촌 엘리사벳의 환대 또한 예사롭지 않다. 

“당신은 여인들 가운데에서 가장 복되시며 당신 태중의 아기도 복되십니다. 내 주님의 어머니께서 저에게 오시다니 어찌 된 일입니까?”

이에 마리아는 그 유명한 성모찬가, ‘내 영혼이 주님을 찬양하며, 나의 구원자 하느님안에서 내마음 기뻐 뛰노네’로 시작되는 마니피깟으로 응답한다.

이 인류의 역사를 바꿀 두 여인의 만남이 몇 천년의 세월이 흐른 뒤에도 계속 회자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세기의 만남’이라는 트럼프와 김정은의 만남은 인간의 적나라한 탐욕과 술수를 보여줬지만, 두 여인의 만남은 새 생명이 가지고 올 새로운 세상에 대한 믿음과 확신, 비전을 보여줬다. 크리스마스의 시작은 아마도 여기서부터 일 것이다.

 

차이나 캐비넷 안 작은 전등을 새것으로 갈아 끼우니, 오늘따라 성모자상 크리스탈이 더 환하게 반짝거린다. 어른이 되고 나서 누군가에게 포근하게 안겨본 것이 언제쯤인지 기억조차 가물가물하다. 이럴 때 성모자상을 보고 있으면 왠지 마음이 차분해지고 평안해진다.

세상의 모든 자식들은 지치고 또 지칠 때 무작정 안길 수 있는 품안이 필요하다. 아무조건 없이 누군가를 사랑해주는 이, 사랑을 나누어 줄 이가 그립다. 그럴 이가 아기의 모습으로 다가오고 있다. 올 한 해 어둡고 긴 터널을 지나왔다. 그 끝에 환한 불빛으로 우리를 기다리는 이가 있다.

올해도 구유 안은 따뜻하고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을 것이다. 은총의 시기가 이미 시작되었다. 임마누엘! 임마누엘!

 

박혜자

미주작가 / 칼럼리스트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문화 칼럼
영화 칼럼니스트 박재관

-성균관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세계 클리오 광고제/칸느 광고영화제 수상
-오리콤 광고대행사 부서장 및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역임
-알라바마 주립대학/캔사스 주립대학 교환교수
-경주대학교 방송언론광고학과 교수 및 부총장 역임

푸드 칼럼니스트 달맘 (송민경)

한•중•양식 조리기능사 / 식품영양학 학사
영양사 면허 / 영양교육 석사 /
초•중•고 영양교사 자격

수필 칼럼니스트

소설가 김수자

미주 작가 박혜자

시인,수필가 김미희

사모 시인/ 달라스 문학회원 김정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