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된 삶과 예배

0

[목회칼럼] 글로리 침례교회 담임목사 김상진





로마서(Romans, 12:1-2):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산 제사로 드리라.”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은혜로 값 없이 구원받은 성도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구원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 어떻게 그런 삶을 살까 고민하고 있습니까? 로마서 본문이 답변을 해주고 있습니다.





사도 바울은 로마서를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하였습니다. 1-11장은 교리편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복음을 믿음으로 값 없이 구원얻는 은혜를 가르쳤습니다.

12-16장은 실천편입니다. 앞서 배운 가르침대로 구원받음에 합당한 삶의 실천하라고 합니다. 바른 신앙생활은 교리와 실천의 삶이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오늘 본문이 ‘그러므로’라는 접속어로 시작하는 것은 의미가 큽니다. 믿음으로 구원얻고 의롭다하심을 받은 성도들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주일에 드리는 예배와는 어떻게 연관되는가?

사도 바울이 주는 권면은 영적 가족의 분위기에서 권면합니다. “형제들아”,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또한 “권하노니”라는 말은 엄격한 상하관계가 아니라 친근한 수평관계임을 암시합니다.

구약에서 율법준수는 의무관계였습니다. 하지만 오늘 본문은 자원하는 헌신으로 하나님과 신뢰관계로 자신의 몸을 산제사로 드리라고 합니다. 모든 율법관계를 복음의 입장에서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의 관점으로 재해석합니다.

다음에 “너희 몸을 거룩한 산제사로 드리라”고 권면에서 명령형으로 바뀌는 것은 의미가 있습니다. 구약시대의 제사는 동물을 죽여서 온전히 드렸습니다.

그러면 ‘산제물’은 무엇입니까? 여기서 ‘몸’은 헬라어로 ‘소마’라고 하는데 육신을 가진 몸체를 가리킵니다. 살아서 움직이고 있지만 모든 일에 주님께 드려진 제물처럼 살라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몸을 산제사로 드리라는 것은 주님께 드리는 온전한 인격적 헌신을 말합니다. 산제사로 드리는 예배가 영적예배라고 합니다. ‘영적’이라는 말은 다른 말로 ‘합당한(Reasonable)’ 또는 ‘참된”(True)’입니다.

KJV는 ‘합당한(Reasonable)’ 예배라고 번역했고 ESV는 ‘참된”(True)’ 예배라고 했습니다. 주일에 형식을 갖추어 드리는 예배가 예배의 전부가 아니고 교회 밖에서 삶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성도 개개인은 물론 공동체(교회)로서 다 함께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참된 예배를 드리라고 합니다. 예배가 직장과 가정의 삶의 현장까지 연결되어야 합니다.





어떤 남자가 옛날 시골 기차 정거장에 역무원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손님이 “저는 당신 때문에 그리스도인이 되었습니다”라고 했습니다.

“제가 그 이유를 알 수 있겠습니까”라는 질문에 이렇게 답변했습니다.

“당신이 항상 미소를 짓고 친절하게 대해 주어서 감동이 되었는데 어떤 일을 계기로 당신이 크리스찬인 것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나도 당신이 믿는 예수를 믿기로 결심했습니다.”

어떤 미국 목사님은 이런 삶을 ‘Not One Day Christians but 24/7 Christians’라고 표현하셨습니다. 주일 날 뿐만 아니라 삶의 현장에서 한 주일 내내 그렇게 살라고 합니다.





성도가 구원받았다고 세상의 악의 영향을 피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12장 2절은 먼저 “이 세상을 본받지 말라”고 합니다.

이 세상이 가는 방식대로 따라 살지 말라고 합니다. 마치 죽어서 물에 떠내려가는 물고기처럼 살지 말고, 대신에 살아서 생동감 있는 고기처럼 세상을 거슬러 올라가는 삶을 살라고 합니다.

몇 가지 행동의 변화가 아니라 인격 전체가 변해야 합니다. 루터가 쓴 로마서 주석을 보니, 그가 생각하는 로마서의 윤리는 “인간 자신의 지혜와 아집을 뿌리뽑는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에베소서에도 “새사람을 입으라(4:17)”고 하는데 옷을 바꿔 입듯이 정체성이 변화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변화를 받아’라는 헬라어 동사는 현재 수동 명령형입니다. 자신을 변화시키는 성도의 역할이 강조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헬라어 현재형은 우리 마음을 새롭게 하는 것이 일회적 결심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노력의 과정이라는 것입니다. 마음의 변화를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과 인내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지금 자신이 변화되지 않은 성품이 드러난다고 너무 실망하지 마십시오. 실패해도 거듭 거듭 다시 일어나서 마음의 변화를 이루어 가면 됩니다. 거듭된 행동은 습관을 낳고 거듭된 습관은 인격의 변화를 가져옵니다.





내 개인 삶에서, 내 가정에서, 내게 맡겨주신 사역에서 하나님의 뜻을 바르게 분별하도록 힘써야 합니다. 그리고 주일에 의식을 갖추어 드리는 예배가 나의 일터에 가장으로 연장되기를 바랍니다.
변화되고 온전히 헌신된 인격이 주위 사람들과 관계에서 드러나게 합시다. 삶의 현장에서 우리들의 손과 발로 변화된 삶으로 보여져야 합니다. 이것이 산제물로 드려진 온전하고 의미있는 참된 예배입니다.





김상진

글로리 침례교회

담임목사





기독교에 관한 문의 또는 신앙 상담 문의는 469-279-3746 (글로리침례교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