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 숲이 되는 사회”를 지향한다

0

어느 날, 우리 주변에서 잘 알려진 사람이 갑자기 사라진다거나 또는 유명을 달리 한다면 어떨까? 싫든 좋든 그와 이해관계에 있던 사람들은 우선 놀라고 당황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조금 시간이 흐르면 그 원인과 동기가 불거지고 그 진위가 밝혀질 것이다. 그때부터 사람들은 그 해당 인물에 대한 지금까지의 삶의 행위가 옳았는지 아니었는지를 기억하고 판단하여, 그를 ‘몹쓸 인간’으로 매도하거나 혹은 ‘참 아까운 사람’으로 안타까워하기도 한다. 

 

이러한 객관적인 기준이 설득력이 있는 것은, 주변의 판단으로 열 사람 중 5-6명 이상이 ‘몹쓸’쪽에 손을 든다면 그 사람은 본인 생각과 상관없이 그냥 세상에서 몹쓸 인간으로 치부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결과는 대부분 상식으로 통용된다. 물론 당사자 주변은 그렇지 않다고 불복하며 나름대로 삶에서 최선을 다 했노라고 항변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런 당사자들과 똑같이 그들을 부정하는 주변의 다른 사람들도 모두가 자기 인생에서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하기에, 이미 낙인찍힌 사람의 항변은 주변 소수를 제외하곤 설득력이 없을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누구나 자기 삶에 최선을 다 했다고 하더라도, 그런데 왜 그중 누구는 ‘아까운 사람’이 되고 누구는 그렇지 않은지, 또는 ‘몹쓸 사람’으로 각인되어질까? 이는 한마디로 인간에 대한 ‘존중심’이 없었기 때문이고, 남에게 베풀음이 없는 과욕 때문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를테면 나의 최선만큼 남의 최선도 함께 존중되어야 하고, 턱없는 과욕은 자제되어야 함이 마땅하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다. 

 

지금 내 나라엔 차기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각 진영 후보 간 치열한 ‘샅바’ 싸움이 치열하다. 여야를 막론하고 진보건 보수거나를 통 털어 대충 열 명 내외의 후보가 나와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개중에는 제법 신선한 사람도 있고 몇 십 년을 정치판에 굴러 노회한 ‘꾼’들도 있다. 그런가 하면 보기에도 ‘허접쓰레기’과로 분류되던 ‘국충‘급 후보도 있다. 물론 지금은 메인 타이틀 매치를 위한 예비 단계이긴 하지만, 그렇더라도 국민의 눈에 비친 그들은 누구를 막론하든, 향후 국리민복을 위한 비전 있는 정책을 제시하는 후보는 잘 눈에 띄지 않는다. 그저 구태의연한 시각과 모습으로 서로간의 약점 후비기와 내로남불과 헐뜯기로 세월을 좀먹고 있다. 

 

거기다가 최근에는 뜬금없이 몹시 귀에 거슬리는 ‘화천대유(火天大有)’와 ‘천화동인(天火同人)’이라는 생경한 4자성어가 언론매체를 통해 우리 사회에 폭풍을 일으키고 있다. 이는 차기 대선 예비 후보자들이 서로 남의 후보 약점 후비기 중에서 불쑥 튀어나온, 정말 핵폭탄 급의 ‘까발림’ 때문이었다. 화천대유란 주역에 나오는 말로 ‘하늘의 도움으로 천하를 얻는다’ 는 뜻이라고 한다. ‘貨泉’은 재물의 샘이고 ‘大有’는 크게 가진다 또는 풍년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ㅡ. 그래서 지난 추석에는 “화천대유 하세요” 하면 대꾸로 “천화동인(天火同人 / 마음먹은 일을 할 수 있다) 하세요“ 했다는 시니컬한 덕담 패러디가 날아다녔다. 내용을 요약하면, 현직 경기도 지사인 이재명이 성남시장 시절 기획개발 한 ‘대장동 개발 사업’에 각종 불가사의한 특혜 의혹이 숨겨진, 복잡다단하고 경천동지할 ‘판도라’급 사기 사건을 말하는 것이었다. 

 

“화천대유(火天大有) 천화동인(天火同人)”....즉 이 두 말을 합치면 돈이 흘러 넘쳐 풍년을 이룬다는 말이다. 시쳇말로 큰 것 한방으로 ‘대박’을 터트린다는 사기꾼들의 로망이라고 하겠는데...머리 나쁜 사람은 이 사건 전모를 파악하는데도 머리에 쥐가 날 정도의 복잡다단한 대형 사기사건이었다. 21세기 대명천지 내 조국 대한민국에서 대동강 물 팔아먹은 봉이 김선달이 울고 갈 사건이 터졌다는 것이 작금 세간 저자거리의 중평이다. 이들이 따먹은 열매를 보고 지금 차기 대통령을 꿈꾸는 사람들도 앞으로 혹 또 그런 헛꿈을 꾸지 않을까 걱정이다.

 

돌아다보면, 지금 그렇게 부정적인 일을 저지르고도 늠름(?)하게 ‘오리발’로 버티는 부류들은 사회적인 ‘강자’였거나 아니면 그 주변에서 기생하는 ‘대신’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들은 대부분 ‘큰 목소리’를 가졌고 ‘돈’이 있었으며, 또한 철따라 변하던 정치권력 쪽에 빌붙어 있었기에, 필요하다면 자기들 임의대로 뭐든 만들고 또는 부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정치나 경제적인 이해를 관철하고자 함에 그치지 않고 더하여 사회구조와 사람들의 심성마저 강제하려 했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보통의 사람들에게서는 ‘아닌 사람들’로 분류되고 그리고 반드시 철퇴로 다스려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 원인은 앞서도 말했지만 그들의 욕심이 넘치기 때문이다.

 

혹시라도 우리 동포사회 주변에 이러한 사람들이 있다면, 지금부터라도 한번쯤 옷깃을 여미고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기회를 가져주기를 희망한다. ‘과유불급’이란 말이 있듯이 넘치는 것보다는 조금 부족한 것이 좋은 것이고, 나 혼자만이 땅의 자양을 받으려 하기보다는 ‘더불어 숲이 되는 사회’가 되는데 힘을 모았으면 좋겠다는...시월 첫날을 맞는 오늘의 ‘공자말씀’이다. *

 

 

손용상 논설위원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