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입 다물고 있능 거 할 말이 없어서가 아이대이…”

0

손용상 칼럼 / 짧은 글 깊은 생각





대학 교수들이 뽑은 '2019년 올해의 사자성어(四字成語)'로 공명지조(共命之鳥)가 선정됐다고 한다.
공명조(共命鳥)는 ‘아미타경’(阿彌陀經) 등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하나의 몸통에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새를 일컫는다고 한다. 이 새의 한 머리는 낮에, 다른 머리는 밤에 각각 일어난다. 한 머리는 몸을 위해 항상 좋은 열매를 챙겨 먹었는데, 다른 머리는 늘 이를 질투했다. 화가 난 다른 머리가 어느 날 좋은 열매만 따먹는 머리를 없애려고 독이든 열매를 몰래 먹었다. 결국 두 머리가 모두 죽게 된다는 우화적 풍자다.





이 어휘 선정에 참여한 한 교수는 “한국의 현재 상황은 상징적으로 마치 공명조를 바라보는 것만 같다”며 “서로를 이기려고 하고 자기만 살려고 하지만, 어느 한쪽이 사라지면 죽게 되는 것을 모르는 한국사회의 극심한 사회 분열상에 안타까움이 들어 선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 나라 대학가를 주무르며 곡학아세(曲學阿世) 하는 일부 사이비 교수들이 그런 말을 한다면, 지나가는 소도 웃을 일이다. 들여다 보면 자기들이 바로 공명지조(共命之鳥)의 한 축(軸)에 속해 있으면서도 그저 말로만 지성인(知性人) 코스프레를 하기 때문이다. 모두가 마치 ‘남 탓’이라는 변명 같은 느낌을 주기에 더욱 그렇다. 그래서일까? 그들이 매년 발표하는 ‘올해의 사자성어(四字成語)’는 생각만큼 사람들에게 별로 마음의 울림을 주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렇다. 이번 논란이 되고 있는 선거법만해도 그렇다. 국회의원 선거는 이유여하 지역 유권자의 표심에 따라서 당락이 결정되어야 한다.

그런데도 이미 퇴출이 되어도 아깝지 않은 올드 보이들이 줄줄이 나서서 연동형에다, 석폐율에다 생전 잘 들어보지도 못한 해괴한 논리를 들이대고 있다.

내 밥그릇 챙겨 주라는 소위 4+도토리 정당들은 염치도 없고 경우도 없는 완전한 “철면피”인간들이다.

이렇듯 나라가 이 모양인데, 교수란 작자들이 아무리 뼈아픈(?) 얘기 지껄여봐야 국민들 귀엔 들어오지 않는다.

차라리 국민들을 향해 이러한 사이비 정치꾼들을 “초전박살”을 내자는 사자성어를 선정한다면 차라리 박수를 받을 것이다.





어쨌거나…필자는 다소 ‘삐딱’한 시각으로 이 기사를 읽었다. 그리고는, 그보다는 문득 김종원 시인의 ‘겨울 풀’이란 시를 떠올렸다. 돌아오는 새 해 경자(庚子)년에 ‘희망’을 주는 노래였기 때문이다.





겨울 풀 / 김종원





야야 보거래이

우리가 이렇게 입 다물고 있능 거

할 말이 없어서가 아이대이

우리도 할 말이사 많이 있능기라

우리가 누렇게 뜬 얼굴로

비틀거리면서도

맵차디 맵찬 겨울바람

한사코 견디어 내는 것은

뿌리가 있기 때문이대이

뿌리는 우리에게 믿음인기라

뿌리는 우리에게 힘 인기라





야야 이제사 알겠제

꽁꽁 얼어붙은 땅 속 깊이

꿋꿋이 내려 뻗은 우리의

힘을

우리에게 만약 그런 힘 없었다면

우리에게 그런 칼날 같은 믿음 없었다면

우린 쓰러져도 벌써 쓰러지고

말았을 기라





야야 똑똑히 보거래이

지금 이렇듯 누런 이파리 흔들어대는 건

우리가 뿌리로만 엉키며 살아가는 건

이 겨울 뒤에 찾아 올

어느 봄날에

물결치듯 온 땅에

와아와아 꽃으로 피어나

한바탕 멋지게 어우러져 춤추고 싶은 기라

야야 우리는 그 날을 기다리고 있능 기라.





나는 이 시를 읽으며 문득 김정은이 말하는 ‘멍텅구리’ 우리 대통령더러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가 무엇인지를 확실히 밝히도록 해야겠다. 대한민국 출신 ‘자유애국시민’으로서의 다짐이 더 굳어졌다면 아마 이 동네 좌파들은 더욱 인상을 찌푸릴지도 모르겠다.





본 사설의 논조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맞지 않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