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여파 … 가격, 매매 건수 모두 하락세

0

미국의 주택시장이 사실상 10년 만에 가장 침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부동산중개인협회(NAR)는 9월 기존주택 매매 건수가 전월보다 1.5% 감소한 471만 건(연율)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 2020년 5월 이후 최저치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초기 봉쇄 기간을 제외하면 2012년 9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기존주택 매매 건수는 9월 까지 8개월 연속 줄어들어 지난 2007년 이후 최장기 기록을 세웠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9월 매매 건수는 23.8% 급감했다. 

가격도 지난 7월 이후 석 달 연속 내림세다. 주요 도시들의 평균 집값을 보여주는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는 7월에 전달 대비 0.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대 도시는 0.5%, 20대 도시는 0.4% 떨어졌다. 20대 도시는 10년 만의 첫 하락이다. 미 부동산중개협회(NAR)에 따르면 전달 대비 주택 중간가격은 7월 부터 하락 중이다. 

9월에 팔린 기존주택 중위가격은 38만4천800달러로 8월의 39만1,700달러보다 소폭 하락했다. 다만 9월 집값은 작년 같은 달보다는 8.4% 상승해 전년 동월 대비로 역대 최장인 127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30년 고정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가 7%를 돌파하는 등 금리 부담이 높아진 것이 주택 수요를 얼어붙게 만든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연방준비제도(FRB·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집값은 더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연준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모기지 금리를 올린 것이 부동산 시장 침체의 가장 큰 원인인 만큼 추가 금리 인상이 더 큰 악재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로렌스 윤 NAR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집값은 아직 바닥을 찍지 않았다”며 “기존주택 매매 건수는 450만 건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주택시장에 매물이 적다는 점에서 부동산 시장이 붕괴하지는 않을 것으로 자신했다. 

NAR에 따르면 9월 시장에 매물로 나온 주택 재고는 125만 채로 전년 동월보다 0.8% 감소했다. 

윤 이코노미스트는 “현재의 공급 부족은 직전 대규모 침체였던 지난 2008∼2010년과 커다란 대조를 이룬다”며 “당시에는 지금보다 매물로 나온 주택이 4배 더 많았다”고 지적했다.

주택시장을 점점 더 부정적으로 보는 전문가들이 많아지고 있다. 한때 올해 잠깐 가격이 하락하고 내년에 반등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이 많았는데 이제는 내후년까지 20% 이상 가격이 추락할 것이라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부동산컨설팅전문업체 존번스리얼이스테이트의 릭 팔라시오스 주니어 리서치디렉터는 “올해 초 최악의 경우 10% 하락할 것으로 봤는데 이제는 이 두 배 정도는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며 “이번 하락기는 대공황 수준으로 집값이 곤두박질치지는 않겠지만 역사상 최악의 시기 중 하나로는 기록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국의 부동산 시장이 빠르게 위축되는 가운데 추후 미국의 경기 침체로 모기지 연체가 늘어날 경우 부동산금융까지 흔들릴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모기지은행협회(MBA)는 10월 20일 전 주 기준 모기지 신청 건수가 전주 대비 4.5% 감소했다고 밝혔다. 

부동산 시장 침체로 구매자가 줄어들면서 모기지 금융 수요도 줄어든 것이다. 여기에 더해 재융자 건수도 전주 대비 8%, 전년 대비 86% 급감했다. 

MBA의 조엘 칸 수석이코노미스트는 “30년 고정 모기지 이자율이 2002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하면서 모기지 신청이 4개월 연속 하락했다”며 “이는 1997년 이후 최저 수준”이라고 말했다.

또한 JP모건에 따르면 정크 등급의 신용위험공유증권(CRT)과 미국 국채 간 금리 격차는 올 1월 3.42%포인트에서 10월 6.75%포인트까지 상승했다. 

CRT는 여러 금융업체들이 실행한 모기지 대출을 묶어 금융 상품화한 것으로 프레디맥과 페니매가 판매한다. CRT 이자율과 국채 금리의 격차가 커졌다는 것은 해당 상품의 리스크가 커졌다는 의미로 집주인들이 모기지 대출을 갚지 못하는 상황이 그만큼 커졌음을 의미한다.

거래 수요가 감소하면서 주택 착공도 줄어드는 분위기다. 상무부 산하 인구조사국이 발표한 9월 신규 주택 건설은 전월 대비 8.1% 감소한 143만9,000건으로 전문가 전망치(146만 건)보다 적었다.

 

텍사스 주택시장 열기도 식어 …

DFW 지역의 부동산 시장의 뜨겁던 열기도 식어가고 있다. DFW지역에선 올해 8월까지 3개월 연속 주택 거래율이 하락했고 8월 주택거래율은 일년 전보다 10%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문가들은 2008년의 주택시장 폭락 상황과는 다르다고 강조하고 있다. 

 텍사스 A&M 대학 부동산리서치센터(TRERC)의 짐 게인스(Jim Gaines) 경제전문가는 메트로텍스 부동산중개사협회(MAR)의 연간 주택 전망 행사에서 “현재 경제가 침체기에 있는지 여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고 밝히면서 “경기 침체의 지표인 국내 총생산(GDP) 성장률이 두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텍사스와 특히 DFW 지역은 여전히 일자리를 추가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작년(2021년)에 4.7%였던 DFW 지역의 일자리가 올해는 6%나 증가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이 경기후퇴상황이라 해도 텍사스는 과거 3번의 경기 후퇴 시기를 탄력적으로 극복해 왔다”고 덧붙였다. 

  전미부동산중개사협회(NAR)의 제시카 라우츠(Jessica Lautz) 고위관계자는 주택 거래율이 향후 18개월 내에 더 감소할 것이며 모기지 이자율이 계속 상승하면서 주택 구매자 수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그는 구매 가능한 주택 공급 부족으로 주택 거래 가격은 계속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텍사스의 인구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면서 지속적인 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이전처럼 뜨거운 주택시장은 아닐지라도 미지근한 온도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부동산파트너 편집팀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ISSUE] 남들은 미처 모르는 고가의 수집품들

>>> 오즈의 마법사 겁쟁이 사자 코스튬1939년에 개봉한 오즈의 마법사는 박스 오피스에서 약 1,768만달러의 대흥행을 거두며 세계에 엄청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더보기

[씽아나의 씽씽정보]한국에서는 언제부터 복권을 발행했을까? / 미국의 복권 양대산맥 ‘파워볼과 메가밀리언’

한국에서는 언제부터 복권을 발행했을까?1등에 당첨되면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 같은 행운의 티켓, 복권에 대해 알아보자. ‘복권’이란 돈으로 표를 구입하고, 조건에 맞으면 당첨금을 … 더보기

[교육] 미국 최고의 아트 스쿨과 선택 방법

아래 소개되는 학교들은 주로 미술과 디자인 교육 분야에서 인정을 받고 있는 미국 최고의 아트 스쿨이다. 매해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는 아트 스쿨들로는 로드 아일랜드 디자인 스쿨(Rh… 더보기

[리빙 라이프] 2023년 부동산 시장 온도는? 가전제품 언제 구매하면 좋을까??

모든 것에는 타이밍이 있다. 특히 대형 가전제품을 구매할 때에는 더욱 그렇다. 고장이 잦고, 수리가 필요한 가전제품이 있는 경우, 새 집으로 이사를 하는 경우, 혹은 현재 주방을 … 더보기

[Issue 부동산 전망] 2023년 부동산 시장 온도는?

2022년 미국에서는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가 두배 넘게 오르면서 40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고, 주택 거래가 전년 대비 30%가량 감소했다.생애 처음으로 집을 사는 사람들도 … 더보기

[텍사스 주택 시장] “DFW 집값 내려가나 큰 폭 하락은 아닐 것”

● ●“DFW 집값 내려가나 큰 폭 하락은아닐 것”DFW 지역의 집값이 올해 점차 내려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큰 폭의 하락은 아닐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주택융자정보업체 녹(… 더보기

[텍사스 상업용 부동산 시장 ] ★ 삼성 포트워스 남부 산업용 파크에 대규모 임대 계약 체결

★ 삼성 포트워스 남부 산업용 파크에 대규모 임대 계약 체결삼성이 텍사스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최근 삼성은 텍사스에서 물류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사우스 포트워스(Sou… 더보기

전격분석, 2023년 부동산 시장 “위기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현 주택 시장만큼 예측불허의 변동성으로 인해 요동쳤던 시장은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몇 달 동안의 극심한 변화 후에 신경이 예민해진 주택 구매자, 판매자, 소… 더보기

‘취향 저격’ 거실 스타일링의 필수품! 커피 테이블, 당신의 선택은?

대부분 거실 중앙에 자리잡고 있는 커피 테이블의 기원은 한참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영국과 미국 가정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한 것은1800년대 후반이다. 기원전 1천년에 이탈리아 … 더보기

[소피아 씽의 단지탐방] “종합병원과 소방서, 할인매장이 코 앞에” 임대용 주택도 들어서는 맥키니의 …

집 가까이에 대형 종합병원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무슨 일이 있으면 쏜 살같이 우리집으로 출동할 수 있는 소방서가 가까이 있다면 얼마나 든든할까? 주유소까지 있는 대형 창고형 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