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고대진] 폭싹 속았수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NEWS
문화 댓글 0건 조회 23회 작성일 25-03-28 09:30

본문

칼럼니스트 고대진


◈ 제주 출신

◈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 에세이집 <순대와 생맥주>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를 배경으로 한 넷플릭스 인기 드라마다. 주인공 애순이와 관식이가 필자와 비슷한 나이로 설정되어 가난하고 배고팠던 아련한 시절의 추억과 함께 아름다운 내 고향 제주의 풍광을 볼 수 있어서 열심히 감상하고 있다. 이 극이 내 관심을 끈 것은 드라마의 제목이었다.  '폭싹 속았수다'는 "수고가 많으셨습니다” 라는 뜻의 제주 사투리인데 바로 제주도 이야기라고 알고 보기 시작했다. 


많은 육지 사람들은 ‘속았다 ‘라는 말이 ‘사기당했다’라는 말로 생각한다. 내 절친의 부인도 그런 사람이었다. 제삿날 시집에서 제사 준비하느라 많은 음식을 장만하고 나니 시어머니가 “모큰 속았져”라고 말했다. ‘모큰’은 ‘많이’라는 말이고 ‘속았져’는 수고했다는 말이니 ‘폭싹 속았수다’ 와 같은 말이었다. 친구 부인이 그 말을 듣고 깜짝 놀라서 내 친구에게 가서 “어머님이 내가 속았다고 하는데 뭘 속았어?”라며 속상해하기에 사투리라고 설명해도 믿지 않았었다는 말을 들었다. 


얼마 전 안도현 시인이 엘에이 근처 ‘오렌지 글사랑’ 모임에서 강연했는데 그분의 시 가운데 ‘무말랭이’라는 시가 나왔다. “외할머니가 살점을 납작납작하게 썰어 말리고 있다/ 내 입에 넣어 씹어 먹기 좋을 만큼 가지런해서 슬프다/ 가을볕이 살점 위에 감미료를 편편 뿌리고 있다// 몸에 남은 물기를 꼭 짜버리고/ 이레 만에 외할머니는 꼬들꼬들해졌다// 그해 가을 나는 외갓집 고방에서 귀뚜라미가 되어 글썽글썽 울었다”라는 시인데 돌아가신 외할머니를 생각하며 쓴 시라고 했다. 그리고 경북에서는 ‘곤짠지’ 혹은 ‘오그락지’라고 부른다면서 다른 지방의 사투리가 있는지 물었다. 무시 빼깽이, 무수 써래기 (전남), 무수 가시래기, 무수 고재기(충남), 무수 말린갱이(충북), 무고자리(경기) … 등등이 나왔는데 내가 ‘생기리’ 라고 하자 생기리? 어디 말입니까? 라고 물어왔다. 제주도라고 하니 어원이 무엇이냐는 묻는데 답할 수 없었다. 


‘생기리’같이 육지 사람들이 알아듣지 못하는 사투리 가운데 ‘놈삐’가 있다. 제주에선 무를 ‘놈삐’라고 하는데, 잘 아는 고향 후배 부인에게서 들은 ‘놈삐’에 관한 일화다. 서울 처자인 후배 부인이 우리 마을에 시집왔다. 당시 수도와 전기가 안 들어왔을 정도의 시골이었는데 신혼여행을 마치고 돌아와 첫날 아침을 차리려고 신부가 정지(부엌의 제주말)로 나갔는데 시어머니가 벌써 나와 있었다. 어머님 제가 뭘 할까요? 라고 공손히 묻는 며느리에게 “놈삐 썰라!”라고 하시곤 방으로 들어가 버렸다. 뭘 썰라는 말인데 뭔지는 모르겠고 잠자는 신랑을 깨워 “여보 놈삐가 뭐야?” 하고 물었다. “응? 놈삐 그건 무야.” 그럼 무를 썰라는 말인데 어떻게 썰어? 깍두기 식으로 썰어야 하나 아니면 넢적 넢적? 아니면 어떻게? 뭘 할 건데… 하면서 부엌에서 고민했던 일을 말해주어서 웃었다. 아마도 아침 무국을 끓이기 위해 무를 썰라 하셨는데 제주도 무국은 체를 썰어 끓이니까 그렇게 놈삐를 썰라는 말이었다. 시어머니도 어려운 육지 며느리가 왔는데 육짓말은 알아듣지 못하겠고 답답해서 ‘놈삐 썰라’하고는 방으로 들어가 버린 것이었다. “제가 책을 하나 쓸려고 하는데요, 책 제목이 ‘놈삐 썰라’ 입니다. 제주어 때문에 일어난 일들을 얘기하고 싶어서요”라던 그 서울 처자는 그 책을 썼을까 모르겠다.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에서 여자들이 어떤 취급을 받는지, 얼마나 고생하고 살았고 어떻게 극복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제주에서는 외지인들이 들어와 수탈을 많이 해 가곤 해서 외지인을 배척했다. 몽고의 지배하에 있었기 때문에 가장 심한 욕은 “몽곤놈, 몽곤년”이다. 그보다 조금 덜하지만 “육짓놈, 육짓년”도 욕에 해당한다. 그러니 일본에서 들어와 한국말이나 제주도 말이 서투른 우리 어머니의 시집 생활이 얼마나 힘드셨을까 생각해본다. 할머니와 고모들은 해녀였다. 할머니는 상군 해녀였다는데 물질도 잘하고 밭일도 하고 집안일도 잘하는 억척스러운 제주 여자 대신 일본에서 교육받은 책만 보는 ‘육짓년’이 며느리로 들어왔으니 참으로 못마땅하셨을 거다.  <폭싹 속았수다>의 ‘관식’이 나이의 아버지가 ‘관식’이 처럼 마음을 써 주어 마을의 유일한 초등학교 선생님으로 직장생활을 하게 하셨기에 가능한 시집살이였을 것이다. 물질을 못 하고 밭일도 못하더라도 ‘선생님’은 선생님이니까. 


선생님으로 일하시던 어머니는 우리에게 교과서에서 나오는 표준말을 하도록 했다. 당시 시골에서 쓰던 사투리는 어머니는 어멍, 아버지는 아방, 할머니는 할망, 할아버지는 하루방이다. 아주머니는 아주망, 아저씨는 아주방, 나머지는 다 ‘삼춘’이다. 동내 아이들이 모두 ‘어멍 아방’ 하고 부르는데 우리는 꼭 ‘어머니 아버지’ 라고 해야 했고 꼭 “할아버지 할머니 학교에 다녀오겠습니다 혹은 학교에 다녀왔습니다” 라고 인사하게 시켰다. ‘너는 여기서 해녀로 살지 말고 넓은 데서 하고 싶은 공부를 하며 살라’는 극 중의 애순이 어머니와 같은 마음이 아니었을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문가칼럼 목록
    칼럼니스트 고대진◈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순…
    문화 2025-03-28 
    공학박사 박우람 서울대 기계공학 학사, 석사미국 Johns Hopkins 대학 기계공학 박사UT Dallas 기계공학과 교수재미한인과학기술다 협회 북텍사스 지부장간단한 암산으로 이야기를 시작해보자. 100에서 10을 뺀 다음 5를 또 빼면 얼마일까? 어렵지 않게 정답 …
    문화 2025-03-28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한 무리의 소들이 한가로이 풀을 뜯는 목가적인 풍경을 보면서 참 아름답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태양아래 아름다운 짙푸른 초원이 있고 경치 좋은 산을 병풍 삼아 한가롭게 되새김질하는 소들의 모습을 보면, 마치 메마른 샘에 단비가 내…
    문화 2025-03-28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드디어 완연한 봄입니다. 주위의 모든 만물이 슬슬 봄의 전령들을 보내고 봄을 예찬하는 노래들이 우리의 입가를 맴돌게 하고 있다. 지난3월초에 달라스 북쪽 오클라호마 주의 치카소(Chikasaw)에 갔을 때만 하더라도 아직 완전한 …
    문화 2025-03-21 
    박혜자 미주작가 / 칼럼리스트삼월은 메두사의 두 얼굴을 하고 있다. 찬란하게 아름다웠다, 신들의 질투를 받아 무서운 괴물이 되고 만 메두사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온다.  겨우내 잠들어 있던 온 만물을 소생케 하고, 생명의 푸른 빛으로 온 세상을 일 깨우지만,   한편으론…
    문화 2025-03-21 
    크리스틴 손, DMS Care Training Center 원장 (469-605-6035)미국 의료 업계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간호 및 돌봄 서비스 분야는 고령화로 인해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CNA는 미국 의료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
    문화 2025-03-21 
    백경혜 수필가오전 다섯 시쯤 번쩍이는 섬광과 빗소리에, 잠에서 깨어났다.  유리창을 요란하게 때리는 빗줄기 때문에 커튼을 젖히고 밖을 살피기도 무서웠다. 커튼을 살짝 들고 빼꼼히 내다본 풍경은 생각보다 심각했다. 작달비가 쏟아지고 있었고 하늘은 천둥번개로 번쩍였다. 시…
    문화 2025-03-14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봄의 길목에 서서 바쁜 일상을 탈출하여 무심코 산과 물을 건너 자연 속으로 들어가 보자. 3월과 더불어 시골길을 걷는 것은 탄생하는 생명의 신비를 경험하며 곳곳에 숨어있는 자연의 멋을 몰래 감상할 수 있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곳곳…
    문화 2025-03-14 
    Hmart 이주용 차장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오늘은 샐러드에 대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샐러드하면 떠오르는 대표는 단연 시저샐러드 입니다. 로메인 상추와 크루통(Crouton, 튀긴 빵조각)에 파마산 치즈, 레몬즙, 계란, 마늘, 올리브오일 등으로 만든…
    문화 2025-03-14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유레카 스프링스(Eureka Springs) 여행을 하면서 보는 야산을 끼고 조그맣게 형성된 도시의 아기자기함, 그리고 곳곳에 이곳의 특색을 살려 많은 관광객들을 유혹하는 이벤트들이 있지만, 산을 끼고 내려오는 수정처럼 맑은 이곳…
    문화 2025-03-07 
    김미희 시인 / 수필가 큰아이가 가족을 데리고 한국 처가에 다녀오는 동안, 기르던 애완견을 우리 집에 맡기고 갔다. 처음 제안이 나왔을 때 나는 선뜻 허락하지 못했다. 개를 키워본 적도 없고, 개와 가까이할 자신도 없었다. 그런 내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큰애는 메이…
    문화 2025-03-07 
    Hmart 이주용 차장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오늘은 밥도둑이라는 단어의 원조격인 게장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노르스름한 장이 담긴 게 껍데기에 밥을 비비면 다른 반찬 없이도 밥 한 공기를 뚝딱 먹을 수 있기 때문에 흔히 밥도둑이라고 이야기하는데요. 게장은 …
    문화 2025-02-28 
    공학박사 박우람 서울대 기계공학 학사, 석사미국 Johns Hopkins 대학 기계공학 박사UT Dallas 기계공학과 교수재미한인과학기술다 협회 북텍사스 지부장지난 칼럼에서 양자 컴퓨터의 배경 원리가 되는 양자 중첩과 양자 얽힘을 간략히 알아보았다. 원자처럼 매우 미…
    문화 2025-02-28 
     박인애 (시인, 수필가)미주경희사이버대학교동문회 임원방에서 우리도 유명 강사님들을 초청하여 줌강연회를 열면 어떻겠냐는 의견이 나왔다. 동문은 물론이고, 문학에 관심 있는 분들도 들을 수 있도록 오픈 강의로 하자고 의견이 모아졌다. 줌강연은 이미 여러 단체에서 하고 있…
    문화 2025-02-28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핫 스프링스(Hot Springs)의 아침은 다운타운에서 216피트, 해발 1256피트 높이의 산에 위치한 핫 스프링스 마운틴 타워(Hot Springs Mountain Tower)에 비친 강렬한 태양빛 쇼와 같이 시작이 됩니다.…
    문화 2025-02-28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