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률

김희연 변호사 : 한국의 상속세 과세제도 (16)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법률 댓글 0건 조회 6,363회 작성일 19-05-08 18:37

본문

(지난 회에 이어서)

지난 회에 설명한 유류분 제도와 관련하여, 유류분반환청구권자는 유류분권리자이고, 반환의무자는 증여 및/또는 유증을 받은 자 또는 그의 포괄승계인인데 공동상속인도 증여나 유증을 받은 경우에 역시 상대방이 될 수 있습니다.

유류분반환청구권은 반드시 재판상 행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어서 (즉, 반드시 소송을 제기하여야만 하는 것이 아니어서) 유증 받은 자 또는 증여 받은 자에 대한 의사표시로 하면 되는데, 침해를 받은 유증 또는 증여 행위를 지정하여 반환청구의 의사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그 목적물을 구체적으로 특정하여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유류분권리자가 여러 명인 경우 각자의 유류분반환청구권은 독립적이기 때문에 각자 따로 행사되어야 합니다.

유류분반환청구를 받게 되는 증여와 유증(유언으로 증여하는 것)이 병존하는 경우 유류분반환청구는 먼저 유증에 대하여 행사하여야 하고 유증이 여러 개가 있는 경우에는 각자가 얻은 유증가액에 안분비례(按分比例: 각자의 권리 비율에 따라 나누는 것)하여 반환하여야 합니다. 이 경우 사인증여(死因贈與: 생전에 증여계약을 체결해두고 그 효력이 증여자의 사망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정한 증여)도 유증과 같이 보게 됩니다.

유증에 대하여 유류분반환청구가 이루어 지고 나면 증여를 받은 자가 차순위 반환의무자가 되고 증여가 여러 개가 있는 경우에는 역시 유증의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 각자가 얻은 증여가액의 비율에 따라 안분비례하여 반환하여야 합니다.

반환은 원물(原物)반환이 원칙이기 때문에 금전이 아닌 재산(예를 들어 토지, 보석)을 받은 경우 그 물건을 반환하여야 하나 만약 원물반환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가액반환(금액으로 환산하여 반환)을 하여야 합니다.

만약 피상속인이 공동상속인의 한 사람에게 과다하게 증여하거나(예를 들어 아버지가 생전에 첫째 아들에게만 과다하게 증여한 경우) 유언에 의하여 공동상속인 중 한 사람의 상속분을 과다하게 지정하였기 때문에 다른 공동상속인의 유류분을 침해하는 경우 (예를 들어 아버지가 유언에 첫째 아들에게만 상속재산의 90%를 남긴다고 한 경우) 다른 공동상속인들은 유류분반환청구권의 행사가 가능하고, 다른 공동상속인의 유류분을 침해하는 결과를 생기게 하는 증여 및/또는 유증은 이를 받은 각 상속인의 유류분액을 넘는 한도에서 반환청구의 대상이 됩니다.

이러한 유류분반환청구권은 유류분권리자가 상속의 개시와 반환하여야 할 증여 또는 유증을 한 사실을 안 때로부터 1년 내에 행사하지 않으면 시효로 인하여 소멸하게 됩니다. 여기서 한국 대법원은 이를 상속이 개시되어 자신이 상속인이 되었다는 사실과 증여 및/또는 유증의 사실을 모두 알 뿐만 아니라 그것이 유류분을 침해하여 반환청구를 알 수 있게 됨을 안 때를 의미한다고 판시하고 있기 때문에 기간의 산정에 있어 유의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또한 상속이 개시된 때로부터 10년을 경과한 후에도 유류분반환청구권은 소멸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시효는 침해를 받은 증여 및/또는 유증을 지정하여 이에 대한 반환청구의 의사표시를 하면 유류분반환청구권의 행사가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시효진행이 중단됩니다.

이상으로 대한민국의 상속법 관련 일련의 기고를 마치며, 마지막으로 독자들께서 향후 한국과 관련이 있는 상속 등과 관련된 법률사항이 발생하기 이전에 그리고 발생한 경우 반드시 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예기치 못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유의하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다음회에 이어집니다)

 

* DISCLAIMER: 본 기고문은 법률제도에 대한 일반적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 사안에 대한 법률자문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필자가 그 내용에 대하여 법률적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법률문제는 개별적, 구체적 사안마다 적용 법률 및 법률효과가 다를수 있으므로 해당 사안 별로 반드시 변호사의 개별적, 구체적 법률조언을 받아야 합니다.

 

** 저작권: 본 기고문은 필자의 저작권의 대상이 되며, 본 기고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인용하고자 하는 경우 반드시 사전에 필자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변호사 김희연

 

대한민국(사법연수원 34기,
Korean Bar Association) 및
미국 텍사스주(State Bar of Texas, US)
김앤김로펌(THE KIM LAW FIRM P.C.)
www.kimlawdallas.com
전화: 972-323-2700, 207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문가칼럼 목록
    2025 회계연도 H-1B 비자 추첨 등록이 3월 6일에 시작되었다. 미국 정부는 매년 85,000개의 새로운 H-1B 비자를 부여하는데, 이 중 65,000개가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에게 부여되고,  20,000개가 미국 대학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에게 부여된다. 외국인…
    법률 2024-03-15 
    바이든 행정부는 취임 후 미국내 1,100만명이 넘는 불체자들이 미국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는 길을 여는 등 대대적 이민 개혁을 제안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첫 날 미의회에 제출한 이민 개혁안은 지난 수년간 또는 수 십년간 미국에서 취업해 커뮤니티를 위해 살아…
    법률 2021-01-29 
    E-2 신청을 위한 서류를 준비함에 앞서 우선 어떠한 자본으로 어떻게 투자가 이루어져야 순조롭게 E-2 신분을 취득할 수 있을 것인지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E-2 신청에 있어서 투자라 함은 투자자가 그의 자본 및 기타 자산을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에 투…
    법률 2019-10-25 
    변호사 김기철 뉴욕지구에 있는 연방정부 법정에서는 지난 11일(금) 10월 15일부터 시행하기로 한 공공혜택에 대한 새로운 시행령(Public charge final rule)을 이민국이 집행하지 못하도록 했다. 또한 새 시행령에 맞게 수정된 모든 이민국 양식들을 당…
    법률 2019-10-25 
    취업 영주권 신청에는 5 가지 종류가 있는데 이 모든 순위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이 고용주 청원서이다. 보통의 취업 제 2, 3 순위에서와 같이 고용주 청원서 제출전에 노동 인준이 필요한 케이스의 경우 인준된 노동 인준이 180 을 경과해 그 효력을 상실하기 전…
    법률 2019-09-27 
    2019년 8월 14일 미 국토안보부는 정부 혜택 수혜자의 이민 신분 취득 결격 판정의 새 기준이 될 새로운 최종 시행 규정을 발표하고, 이 날로부터 60일의 유예기간을 거쳐 이 날 발표된 내용을 관련 부분 새로운 법 규정으로 시행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우선 정부 …
    법률 2019-08-30 
    갑작스런 이민단속 검거, 알고 대처하자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달 14일을 기점으로 불법 체류자 백만여명을 검거해서 추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백만여명을 검거 및 추방하기란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다. 이민 변호사 20여년을 해온 필자로서도 이렇게 대통령이 직접 불법 체류자…
    법률 2019-08-23 
    이민국은 2019 년 7 월 24 일 EB-5 투자자 프로그램 관련 중요한 변화를 담은 새 규정을 발표할 예정이다. 발표될 새로운 규정은 2019 년 11 월 21 일부터 발효된다. 발표될 새로운 규정상 핵심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최소 투자 금액 인상 • 경제 개발…
    법률 2019-07-26 
    신청자의 여건에 관한 전체적인 고려 정부 혜택 관련한 새로 제시된 이민법 규정상으로도 이민 신청자의 연령, 건강, 가족 관계, 자산, 재정 상태, 교육 수준 등을 고려하도록 되어 있다. 때문에 이민 신청자들은 이 부분 증명을 위해 취업, 교육 수준, 소득 수준, 건강 …
    법률 2019-07-12 
    정부 혜택 수혜 관련 최근 제시된 이민 규정 변화(1) 최근 미 행정부의 이민 정책 변화로 인해 이민 신분 신청자들에게는 정부 혜택 수혜 관련 문제가 더욱 예민하게 대두되고 있다. 정부 혜택 수혜 여부는 미국 입국 신청자, 영주권 신청자 그리고 영주권자이지만, 미국을 …
    법률 2019-07-05 
    [이민칼럼] 뉴질랜드 국적자들도 E-1, E-2 신청 가능 미국에 합법 신분으로 체류하고 있는 뉴질랜드 국적자들도 2019년 6월 10일부터E-1, E-2 신분 변경 신청이 가능해 졌다. E-1, E-2 신분은 미국과 통상 조약을 체결한 국가의 시민권자들이 신청 가능한…
    법률 2019-06-21 
    [ 법률 ] 김기철 변호사 통과여부 떠나 모든 신청자 SNS계정 공개필수 “American Dream and Promise Act” (꿈과 약속의 법안) 통과 될 것인가? 이번 6월에 미국 하원에서 “American Dream and Promise Act (H.R.…
    법률 2019-06-14 
      [ 법률 ] 김기철 변호사   트럼프 행정부 출범이후 이민 세관 단속국(ICE)의 대대적인 기습 단속이 많이 늘어났다. 달라스에 근접한 도시에서도 몇 달안에 대대적인 기습 단속이 있었다. 한인 CEO가 운영하는 회사이며 핸드폰 조립 및 리페어를 하는 회사에도 단속…
    법률 2019-05-31 
    (지난 회에 이어서) 만약 미국에 거주하는 동안 한국에 있는 재산에 대하여 미국에서 유언을 하고 유언장(Will)을 작성하였다면, 그 유언장은 한국에 있는 재산에 대하여 효력이 있을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지난 여러 회에 걸쳐 설명한 바와 같이 유언…
    법률 2019-05-08 
    (지난 회에 이어서) 지난 회에 설명한 유류분 제도와 관련하여, 유류분반환청구권자는 유류분권리자이고, 반환의무자는 증여 및/또는 유증을 받은 자 또는 그의 포괄승계인인데 공동상속인도 증여나 유증을 받은 경우에 역시 상대방이 될 수 있습니다. 유류분반환청구권은 반드시…
    법률 2019-05-08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