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매거진

[씽아나의 씽싱정보] 과일의 단맛과 미뢰의 관계 / 한국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색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리빙트렌드 댓글 0건 작성일 23-02-03 16:25

본문

과일의 단맛과 미뢰의 관계

 

과일은 차가울수록 달고 맛있다는 얘기가 있다. 과일 속의 과당은 분자구조에 따라 알파형과 베타형으로 나뉘는데, 이 형태는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아지면 알파형 과당은 더 단맛의 베타형으로 전환되고, 반대로 온도가 높아지면 베타형 과당이 덜 단 알파형으로 바뀐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그래서 과일을 찬물에 담가 놓거나 냉장고에 넣어 놓으면 단맛이 강한 베타형 과당이 증가해 상온에 있을 때보다 훨씬 더 달게 느껴지는 것이라고.

하지만 너무 차가워지면 오히려 혀가 단맛을 느낄 수 없기 때문에 섭씨 약 10도, 화씨로는 약 50도 전후가 과일을 맛있게 즐기는 최적온도라고 한다. 혀 표면에는 오돌토돌한 돌기형태의 유두가 있고, 이 속에는 맛을 느낄 수 있는 기관인 ‘미뢰’가 있는데, 이 미뢰는 음식이 너무 뜨겁거나 차가우면 마비돼서 맛을 잘 느낄 수 없다는 설명이다.

그런가 하면 양치질 한 다음 과일을 먹으면 맛이 쓰거나 떫게 느껴지는 걸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해봤을 것이다. 이는 치약을 구성하는 성분이 맛을 느끼게 하는 미뢰를 자극하기 때문이다. 평소에 미뢰는 음식물 찌꺼기 등으로 덮여 있지만, 이를 닦는 과정에서 찌꺼기가 씻겨 나가면 치약성분이 그 자리를 대신하는 것이다.

치약을 구성하는 성분에는 여러 가지 화합물이 있는데, 그 중 불소는 과일의 산과 반응해 미각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킨다고 한다. 

또 세정력을 높이는 ‘SLS’라는 화합물은 쓴맛을 더 민감하게, 단맛은 덜 느끼게 만들어서 양치칠 후에 먹는 과일은 쓰고 떫게 느껴지는 것이라고.

한편 과일에 충격을 주면 더 달아진다는 말을 들어봤는가? 덜 익어서 신 귤을 손으로 가볍게 때리면 좀 더 달아진다는데, 이게 사실일까? 일부 과일은 과육의 전분이 당으로 바뀌면서 당도가 높아진다고 한다. 전분을 당으로 만드는 것은 과일에서 나오는 ‘에틸렌’이라는 화학성분으로, 이 성분이 많이 나올수록 빨리 달아진다는 말이 있다.

그런데 이 ‘에틸렌’은 과일에 충격을 주면 더 많이 분비되고, 그래서 과일을 때리면 달아진다는 꽤 황당하고 재미있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다. 하지만 과일이 원래 갖고 있는 전분의 양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무한정 달아지는 것은 아니고, 이미 푹 익은 과일에 충격을 주면 오히려 상할 수 있다고 하니 무조건 때려서는 안 될 일이다.

 

한국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색은?

 

한국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색깔은 무엇일까? 최근 한국 리서치가 한국 산업표준에서 지정한 15가지 기본색인 빨강, 주황, 노랑, 연두, 초록, 청록, 파랑, 남색, 보라, 자주, 분홍, 갈색, 하양, 회색, 검정 중에서 좋아하는 색깔과 좋아하지 않는 색깔을 각각 최대 3개까지 꼽아보라고 한 조사가 있었다.

그 결과 전체 응답자의 36%가 파란색을 좋아한다고 답해 파란색이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색깔 1위에 올랐다. 

그 뒤를 이어 검은색(29%), 노란색(28%), 초록색(28%), 연두색(27%)이 꼽혔고, 분홍색(24%)과 보라색(21%)을 좋아한다는 응답도 20%를 넘었다. 하지만 갈색(5%)과 자주색(6%)을 좋아한다는 응답은 한자리 수에 머물렀다.

반면, 좋아하지 않는 색으로는 자주색(29%)과 갈색(28%)을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근소한 차로 주황색(26%), 빨간색(26%), 회색(25%)이 뒤를 이었다. 그렇지만 흰색(6%)과 초록색(9%), 파란색(9%)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한 자리 수에 머물렀다.

15개 색상에 대한 선호도와 비선호도를 살펴보면, 파랑색과 초록색, 연두색은 선호도는 높고 비선호도는 낮은 특징을 보였는데, 이는 싫어하는 사람보다 좋아하는 사람이 더 많은 색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검은색과 노란색, 분홍색의 경우 선호도도 높지만 비선호도 역시 높은, 다시 말해 호불호가 뚜렷한 색으로 나타났다. 

한편 빨간색, 주황색, 회색, 자주색, 갈색은 선호도는 낮고 비선호도는 높아서 한국인들에게 인기가 별로 없는 색으로 분류됐다.

성별로 나눠보면, 남자는 파란색(42%), 검은색(33%), 초록색(29%), 노란색(27%), 연두색(27%)을 좋아하는 반면, 자주색(30%), 빨간색(30%), 갈색(27%), 분홍색(24%)은 좋아하지 않는 색이었다. 여자가 좋아하는 색은 분홍색(32%)을 비롯해, 파란색(30%), 노란색(30%), 초록색(28%), 연두색(27%) 등이었고, 갈색(30%), 주황색(29%), 회색(27%), 자주색(27%)은 좋아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많았다.

나이별 특징을 살펴보면, 18-29세 응답자는 파란색에 대한 선호도(47%)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특별히 높았고, 무채색 계열인 검은색(41%)과 흰색(34%)을 좋아한다는 사람도 많았다. 

30대 이하에서는 검은색과 흰색 외에 분홍색과 보라색 선호도도 중장년층에 비해 높았고, 반면 50대 이상 장년층에서는 초록색과 연두색을 좋아한다는 응답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30대 이하의 선호도가 높았던 검정색, 그리고 같은 무채색 계열인 회색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람들이 덜 좋아하는 특징을 보였다. 60세 이상 응답자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33%는 회색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28%는 검은색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답해 노년층이 안 좋아하는 색 1위와 2위를 기록했다.

 

소피아 씽 (Sophia Tseng)

AM 730 DKnet 라디오 아나운서

텍사스 공인 부동산 에이전트

214-701-5437

Sophia@RealtorTseng.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트렌드 매거진 카테고리

트렌드 매거진 목록
    어르신(X) 시니어(X)… 늙은이(O) 요즘 신문이나 방송에서 나이 든 사람을 지칭하는 단어를 두고 우왕좌왕 하는 모습이다. ‘노인’이라고 쓰기 어색해서 ‘어르신’이라고 쓰는가 하면, 미국 언론을 따라 ‘시니어’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다.노인, 어르신, 고령자, 시니어……
    리빙트렌드 2023-03-03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달라스 근처에는 하이킹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등산로가 있다. 평소 하이킹을 좋아하는 사람이나, 맑은 날씨에 하이킹을 즐기고 싶은 초보들 모두에게 추천하는 달라스 내 하이킹 명소들이 여기에 있다.    01 시더 리지 프리저브시더 리지 프리…
    리빙트렌드 2023-03-03 
    텍사스의 날씨가 점차 따뜻해지면서 봄의 기운이 가득해지는 시기가 왔다. 텍사스 주화(州化)인 ‘블루보넷(Bluebonnet)’도 곧 있으면 활짝 만개할 것이다. 겨우내 갇혀있던 느낌을 훌훌 털어버리고 알차게 다녀오기 좋은 텍사스 여행 명소들을 알아봤다.   ●어스틴 (…
    리빙트렌드 2023-03-03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던 판매용 주택 공급이 빠르게 반등하고 있다.부동산 리스트 웹사이트인 리얼터 닷컴 (Realtor. com)의 최신 주택 재고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1월 분양 주택수는 전년 동월대비 무려 65%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또…
    부동산파트너 2023-03-03 
    ● ●  북텍사스 주택가격 5개월 연속 하락세 … 다른 대도시들보다 아직 나은 수준 북텍사스의 주택 가격이 5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작년(2022년)에 치솟은 모기지 이자율이 전국의 주택 시장의 열기를 냉각시키고 있는 가운데, 북텍사스 지역 주택 가격도 계속 하락…
    부동산파트너 2023-03-03 
    ★ 전문가들 기업 친화적인 주정부, 낮은 생활비와 높은 삶의 질에 높은 점수 부동산 투자자들이 DFW 지역에 대해 “2023년 최고의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달라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CBRE 그룹의 새 조사에 따르면 달라스-포트워스 지역이 202…
    부동산파트너 2023-03-03 
    4명의 주택 구매자들이 전하는 후회 주택은 개인 재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출이다. 안타깝게도 주택시장의 열풍은 최근 주택 구매자들에게 후회를 제공하는 요인이 됐다.클레버 부동산(Clever Real Estate)의 한 연구에 따르면 2021년~ 2022년에…
    부동산파트너 2023-03-03 
    새해맞이 집 리모델링은 마음과 영혼을 차분하게 해주고, 몸도 건강하게 해준다. 어떤 사람들은 집에 새로운 변화를 주기 위해 리모델링을 하기도 한다. 칙칙하고 얼룩진 배관 시설과 수도꼭지, 낡은 주방 서랍, 뒤틀린 벽지, 부풀어 오른 바닥은 집 안 분위기를 어둡게 만든다…
    부동산파트너 2023-03-03 
    지금 텍사스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단지인 프리스코 ‘필드(Fields)’의 분양이 시작된다. 필드를 구성하는 9개의 마을 중 골프장을 끼고 있는 ‘더 프리저브(The Preserve)’와 바로 그 아래 위치한 ‘브룩사이드(Brookside)’가 가장 먼저 첫 삽을 뜰…
    부동산파트너 2023-03-03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해 4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던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기 위해 1980년대 초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금리를 인상했다. 최근의 경제 데이터가 인플레이션의 둔화세와  소비자 및 생산자 물가, 이익 및 임금의 느린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인플…
    리빙트렌드 2023-02-03 
    킬린, 어스틴, 샌안토니오 등 센트럴 텍사스 본격 진출다양한 플랫폼 확장에 이은 지역 확장 이뤄 미주 한인 종합 언론사인 DK미디어그룹(대표 스캇 김, 사장 김민정)의 부동산파트너/리빙트렌드 매거진을 포함하여 코리아 타운 뉴스 KTN, 텍사스 크리스천 뉴스 TCN  등…
    리빙트렌드 2023-02-03 
    당신의 자녀가 10대에 접어 들었다면 책을 읽히기에 더욱 좋을 것이다. 책 속에서 사춘기 자녀들이 공감할 수 있는 학교 생활, 가족의 비밀, 외로움, 또래 친구들의 관심사 등 다양한 이슈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등학생이 되기 전, 자녀가 꼭 읽으면 좋…
    리빙트렌드 2023-02-03 
    정원을 가꾸는 사람들은 말한다. 정원을 가꾸면 행복하고 편안해진다고. 실제로 과학자들은 정원을 가꾸는 것이 신체적, 심리적으로 웰빙을 돕는 방법이라고 말한다. 자연의 이치를 통해 삶의 지혜를 터득하고 식물과 계절의 변화를 관찰하며 차분함을 얻을 수 있다는 것. 효과적으…
    리빙트렌드 2023-02-03 
    과일의 단맛과 미뢰의 관계 과일은 차가울수록 달고 맛있다는 얘기가 있다. 과일 속의 과당은 분자구조에 따라 알파형과 베타형으로 나뉘는데, 이 형태는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아지면 알파형 과당은 더 단맛의 베타형으로 전환되고, 반대로 온도가 높…
    리빙트렌드 2023-02-03 
    푸른투어 달라스 오픈 1주년 기념으로 마련된 특별한 여행 4월 18일 DKNET과 푸른투어가 달라스에서 함께 아드리아해의 보석 크로아티아로 봄 여행을 떠납니다! 오랜 세월 유럽인들에게 가장 사랑받아온 대표적인 휴양지인 크로아티아!최근에는 ‘꽃보다 누나’ 등 여러 예능 …
    리빙트렌드 2023-02-03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