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데스크칼럼

새 해는 내 나라가 ‘흰 소가 끄는 수레’가 되기를 소망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오피니언 댓글 0건 조회 2,862회 작성일 20-12-31 09:47

본문

2021년 신축년(辛丑年) 새해 첫날이 밝았다. 천간지지(天干地支)의 순서에 따라 소띠에 해당하는 해이다. 자료에 따르면, 천간(天干)이 ’신(辛)’이고, 지지(地支)가 ‘축(丑)’인 신축(辛丑)은 60간지 중 38번째다. 신(辛)은 백(白)이므로 ‘하얀 소’의 해라는 것이다. 흰 소는 신성과 행운을 상징한다. 

 

소의 성격은 순박하고 근면하고 우직하고 충직하다. ‘소같이 일한다’ ‘슬슬 걸어도 소 걸음’이라는 말은 꾸준히 일하는 소의 근면성을 칭찬한 말로써, 근면함을 들어 인간에게 성실함을 일깨워 준다. 그래서인지 조상들은 소띠 생을 ‘끈기로 업무를 완수하는 일꾼들’이라고 칭찬했다. 이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일하는 면을 긍정적으로 본 것이다. 그렇듯 소는 강하고 부지런한 성격을 갖고 있지만 그러나 한편으로는 큰 덩치와 느린 동작으로 둔하고 미련하다는 소리도 듣는다. 이 말은 우직함과 고집의 다른 표현이기도 하다.

 

관련 자료집에 따르면, 소는 농경시대 우리 민족의 세시풍속에서 풍요를 가져다 주는 중요한 동물이었다. 농사일을 위한 필수적인 노동력인 동시에 일상생활에선 달구지를 끌어주는 운송수단이었으며, 급한 일이 생겼을 때는 목돈을 장만할 수 있는 금고의 역할까지 했다. 뿐만 아니라 농가의 제산 목록 1호였으며 농사의 주역으로 풍부한 노동력과 힘을 의미했다. 

 

보통, 소는 성질이 온순하다고 알려져 있다. 자극하지 않으면 온화한 동물이지만 한 번 성질 나면 아무도 못 말린다. 호랑이도 앞뒤 안 가리고 들이받는다. 용맹도 겸비했다는 얘기다. 또한 고집이 세다. 그래서 센 고집을 ‘황소고집’이라고 한다. 소는 비록 느리지만 인내력과 성실성이 돋보이는 근면한 동물이다. 근면함과 묵묵함은 유유자적의 여유와 한가로운 대인(大人)으로 은자(隱者)의 마음이라는 이미지를 동반하기도 한다. 소의 모습에는 긴장감이나 성급함을 찾아볼 수 없다. 순박한 눈동자는 보는 이로 하여금 평화롭고 자적한 느낌을 갖게 한다. 

 

소가 우리와 얼마나 가까운 동물이었는지는 고구려 고분벽화와 신라 토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소는 달구지를 끌고 가거나 외양간에서 한가로이 여물을 먹는 모습으로 발견되는가 하면, 견우직녀 이야기를 형상화한 그림에서는 견우가 끄는 동물로 등장하며 농사 신((神)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한가롭게 풀을 뜯는 소, 평화스럽게 누워 있는 소, 어미 소가 송아지에게 젖을 빨리는 광경은 우리의 농촌에서 흔히 볼 수 있던 풍경은 평화로움이다. ‘소는 하품밖에 버릴 게 없다’고 한다. 조상들은 ‘소는 말이 없어도 열두 가지 덕이 있다고 했다. 이 말은 소로 인한 풍요와 부와 자애와 여유로 축약된다. 이런 흔적은 소를 소재로 한 시문․그림․고사가 많이 남아 있다는 점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특히 선비들이 남긴 시문을 보면 속세를 떠난 선계(仙界)에 대한 동경을 묘사할 때 소를 많이 이용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돌이켜 보면, 지난 작년 한 해는 평화로움이 없었다. 그렇다고 부지런함이나 용맹함도 없었다. 우리가 사는 미국이나 우리가 태어난 한국이나 코비나-19 펜데믹으로 지구촌 온 세상이 들끓었다. 거기에다 미국은 아직 대통령 선거 후유증으로 도무지 뭐가 진실인지 잘 알 수가 없고, 그 와중에서도 특히 조국 대한민국은 국가 지도자 하나 잘못 만나 멀쩡했던 온 나라가 혼돈에 빠져있다. 

 

경제 안보 사회 보건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그야말로 국민들을 오물통에 담그게 만들었다. 거기에 더해 청와궁(靑瓦宮) ‘꼼수’로 이른바 ‘윤추사변(尹秋事變)’을 음모함으로써 나라를 더욱 시궁창으로 끌고 갔었다. 문재인 정부는 비정상적인 정권 연장을 위해 나름대로 뭔가를 고치려고 수작을 부렸다가 현직 검찰총장에게 된통 되치기를 당하고, 플러스 자기 지지층인 소위 ‘깨무니’들에게 까지도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 

    

고사(古事)에 교각살우(矯角殺牛) 란 말이 있다. 소뿔 모양을 바로 잡으려다 소까지 죽인다는 얘기다. 교각은 소뿔이 자랄 때 뿔 모양을 좌우 대칭 등 바르게 자라게 해서 소의 품위를 더 높여주는 방법의 하나다. 그러나 작은 흠이나 결점을 고치려다 그 방법이나 수단이 지나쳐 오히려 일을 그르칠 때 쓰이는 말이다. 말하자면 뿔 교정 시 과도한 방법으로 결국 소까지 죽이게 됐다는 고사에서 비롯되었다. 

 

원컨대, 신축년 새해에는 우리 태어난 나라가 이 고사를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았으면 좋겠다. 그렇게 함으로써 불가(佛家)의 법화경(法華經) 속에서 나오는 <흰 소가 끄는 수레>가 되어 불 난 집에서 아이들을 구해주는, 좀 더 새로운 나라로 태어나주기를 진심으로 소망한다. *  

 

* 본 사설의 논조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맞지 않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손용상 논설위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데스크칼럼 목록
    2021년 신축년(辛丑年) 새해 첫날이 밝았다. 천간지지(天干地支)의 순서에 따라 소띠에 해당하는 해이다. 자료에 따르면, 천간(天干)이 ’신(辛)’이고, 지지(地支)가 ‘축(丑)’인 신축(辛丑)은 60간지 중 38번째다. 신(辛)은 백(白)이므로 ‘하얀 소’의 해라는…
    2020-12-31 
    정치 양극화는 미국정치의 특징을 가장 쉽고도 정확하게 표현하는 단어이다. 미국에서 1970년대 의회에서 진행되어온 정치 양극화는 1990년대와 2000년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문가들의 예상보다도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왔다. 또 의회내에서 민주당과 공화당 의원들에…
    2020-12-24 
    주역(周易)에 ‘이인동심(二人同心) 기리단금(其利斷金)‘이란 말이 있다. 두 사람이 한 마음이면 단단한 쇠도 자른다‘란 말이다. 이는 함께 사는 이웃들과의 인간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단적인 비유를 얘기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일컬어 학자들은 ‘공존지수’ 혹은…
    2020-12-18 
    12월도 중순에 들었다. 세상이야 뒤집히든 말든 세월은 흐르고 역사의 나이테는 쌓이겠지만, 언제나 조금도 변하지 않는 것은 옛 성현들의 <진리> 말씀이다.  옛날 인도에 몹시 인색하고 탐욕스러우며 욕심이 매우 많았던, 나이가 80이 넘은 한 귀족이 살고 있었…
    2020-12-11 
    ‘프로크루스테스’는 ‘잡아 늘이고 줄이는 자’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인물이다. 그는 힘이 엄청나게 센 거인 악당으로 아테네 교외의 케피소스 강가에 살면서 강도질을 일 삼았다고 전해진다. 그의 집에는 철로 만든 침대가 있는데, 그는 지나가는 행인을 …
    2020-12-04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과정과 결과를 지켜보면서 많은 미디어와 학자들은 미국 민주주의의 위기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전세계에서 민주주의의 교과서라고 불리울 만큼 모범적 민주주의의 행동 양식과 제도화를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아오던 미국이 대선 과정…
    2020-11-27 
    사회학자들에 따르면, 사람들은 이미 구축된 선입견과 고정관념은 웬만하면 그냥 익숙해진 방식대로 살고 싶어 한다고 한다. 즉 기존의 틀에 새로운 것을 억지로 끼워 맞추는 ‘동화’의 과정은 사고의 틀 자체를 변화시키는 ‘조절’에 비해 한결 수월하고 마음 편한 길이라고 생각…
    2020-11-20 
    미국 대통령 선거가 일단 끝났다. 그러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선거와 개표 제도의 복잡성과 초 박빙 승부 때문에 최종 판정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의 주류 언론들은 대체로 조 바이든 후보의 승리를 거의 확정적으로 보도하고 있다. 그러면서 트럼프에게는 &l…
    2020-11-13 
    지금 우리 국민들은 겉과 속이 다른 문 정권의 각종 명령과 통제에 나도 모르게 <길들여져> 가고 있다. 누가? 우리 조국 대한민국의 동포들이ㅡ. 진정성이 결여된 집권 세력들의 각종 거짓말과 조작 음모에 숨소리조차도 믿기 어려운 세상에 살고 있다. 방송 신문에…
    2020-11-06 
    미국 대선이 코 앞이다. 다음주 3일이면 오래 전부터 시작된 59번째 대선 전과정의 최종 승자가 결정된다. 선거 결과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이 앞으로의 4년도 백악관의 현 주인으로서 미국 행정부와 연방정부의 최고 의사결정권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반대로 바이든 전 …
    2020-10-30 
    우리는 왜 사는가? 이 물음에 대해서는 그 동안 여러 논자(論者)들이 많은 글을 남겼다. 허나 나는 또 다른 시각에서 이에 대한 나름의 답을 찾아보았다. 왜냐면 요즘 매일 SNS에 뜨는 내 조국에서 일어나는 전대미문의 사기극과 철가면들의 위선을 지켜봐야 하는 참담한 현…
    2020-10-23 
    지난 주말, 다시 나훈아 추석 특집 공연을 다시 한 번 보았다. ‘코비나 방콕’이 우리 일상을 가두어 둔 덕분이었다. 하지만 나는 다시 본 그의 공연에서 귀한 행간의 뜻을 새로이 읽었다. 물론 추석 연휴 KBS ‘대한민국 어게인’ 쇼에서의 입담이 곳곳에서 큰 화제와 후…
    2020-10-16 
    “조기를 담뿍 잡아 기폭을 올리고 / 온다던 그 배는 어이하여 아니오나~수평선 바라보며 그 이름 부르면 / 갈매기도 우는구나, 눈물의 연평도~” 60년대 후반 당시 톱 가수 故 최숙자 씨가 불러 대히트를 기록하였던 노래 ‘눈물의 연평도’ 가사다. 애절한 가사, 구슬픈 …
    2020-10-09 
    지난 9월22일 우리나라 해수부 공무원이 북한군에게 총격으로 피살되고, 기름을 끼얹어 시신이 불태워지는 엽기적인 참극이 발생했다. 망망대해를 서른 시간 이상 표류하는 기진한 사람에게 총탄을 퍼붓고 그도 모자라 불을 질러 시신까지 훼손시킨 북한 김정은 도당의 잔학함에 우…
    2020-10-02 
    미국 대통령 선거가 불과 40일 밖에 남지 않았다. 이번 대선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지속적인 확산으로 인해 우편투표가 광범위하게 시행될 예정이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로 역대 최고의 우편 투표율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실제로 콜로라도와 워싱턴을 비롯…
    2020-09-25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