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데스크칼럼

정치란…‘헬 조선’을 따로 만드는 게 아니올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오피니언 댓글 0건 조회 2,701회 작성일 20-03-20 11:32

본문


정치(政治)의 사전적 의미는 ‘나라를 다스리는 일’이다. 국가의 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하며 행사하는 활동이다. 백성(국민)들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상호 간의 이해를 조정하며 사회 질서를 바로잡는 따위의 역할을 하는 것- 즉 자신과 다른 사람의 부조화로운 것, 부정적인 것을 바로잡아 극복하는 일이 정치(政治)의 본뜻이라고 한다. 공자는 “(정치는) 가까이 있는 사람은 기쁘게 하고 멀리 있는 사람은 찾아오게 하는 것, 근자열 원자래(近者悅 遠者來)”이라고 했다.





4.15 총선거가 불과 한 달도 안 남았다. 右든 左든 한국내의 모든 장삼이사(張三李四) 이름 달린 온갖 언론들이 이번 선거에 출마할 국회의원 후보자중 누가 공천되고 안 되고 간에, 그리고 그 인물이 ‘깜’이냐 아니냐에 초점이 모아져 취재에 열을 올리고 있다. 후보가 된 당사자들도 마찬가지다. 소속 당의 공천을 받느냐 마느냐에 거의 목숨(?)을 걸고 투쟁하고 있다. 상대 후보 헐뜯기, 과거 비리를 폭로하며 침소봉대로 적당히 얽어 흑색선전과 모략하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국회의원이란 ‘선거만 없으면 지상 최고의 직업’이라고 한다. 그러니 그들이 사는 목적은 최우선적으로 총선에서의 당선이다. 행여 그들이 정치가 무엇인지 제대로 알고 국리민복(國利民福)을 위해 노심초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민초(民草)들의 최고의 착각이다. 왜냐하면 그 자리는 공익을 위해 봉사해야 할 자리지만, 그들의 관심은 언제나 ‘내 자리 차지’가 먼저이기 때문이다.





집권 3년 차 접어 든 문재인 정권은 지난 연말 국회에서 패스트 트랙으로 무리하게 선거법, 공수처법을 강행 통과시켰다. 그리고 울산시장 선거에 청와대가 개입한 불법행위를 덮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그런가 하면 정략적으로 총선 전에 김정은과 시진핑의 방한 등 깜짝 쇼를 벌이려던 욕심을 부렸다.

이 꾀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실패로 돌아가버렸다.





이제는 4.15 총선에 표를 얻기 위해 막대한 재정적자 예산을 편성하여 선심성 공짜 퍼붓기를 벌이려 한다. 이미 2월에 수십 조 원의 추경을 끌어다 썼다. 그리고 1/4분기도 끝나지 않은 시기에 ‘재난기본소득’이라는 미명하에 추경예산을 또 편성해서 국민 1인당 100만 원의 현금이나 60만 원 상품권을 살포하자고 한다. 총선을 앞드고 이겨야 한다는 선심성 선거매표 작전일 뿐이다.





문재인 정부의 지난 3년 동안 경제는 침체에 빠지고 고용 참사가 빚어졌으며, 빈부 격차는 더 심해졌다. ‘소득주도성장’은 좌익소아병적 실험일 뿐이었다. 환경-근본주의적 탈(脫)원전 정책은 자연을 훼손하고 공기를 더럽히고, 원전수출의 기회를 박탈하고 한전을 파산위기로 내몰아갔다.

그 뿐인가? 한·미 동맹에 금이 가고, 중국에 냉대받고, 북한에 모욕당하면서 국격(國格)이 땅에 떨어졌다. 3년에 걸친 저자세의 굴욕적인 ‘남북 평화쇼’는 김씨 왕조의 무지막지한 욕설로 되돌아왔다. 법치(法治)가 흔들리고 공정과 정의가 시험대에 올랐다. ‘한 번도 경험 못한 일’이 벌어질 때마다 사람들은 놀란 가슴을 쓸어 내리며 “이게 나라냐”고 했다.





몇 년 전 우리 사회엔 “헬조선”이란 말이 크게 유행했다. 좌파들은 세계 10위권의 IT 강국, 세계 최고의 의료보험제도를 갖춘 대한민국을 날마다 “헬조선”이라 외쳐대며 사람들을 선동했다. 그러나 그들은 ‘촛불’을 들이대며 정권을 탈취하자 곧바로 그 무시무시한 단어를 내다버렸다. 입에다 일제히 쟈크를 달아버렸다. 정권 하나 바뀌니까 지옥이 천당이 되었기 때문일까?





그들은 왜, 어떻게 그리도 쉽게 입에 달고 살던 “헬조선”이란 꾸며진 신조어를 담배 끊듯 딱 끊어버렸을까? 그러나 돌아보면, 그들이 거머쥔 지난 3년은 그야말로 실정(失政)과 부패, 무능과 무책임, 허언과 망언, 거짓과 조작, 선동과 꼼수의 퍼레이드가 연속이었다. 실로 ‘한 번도 경험 못했던 나라’가 아닐 수 없다. 그 나라의 이름이 바로 “헬조선”은 아닐까? **





손용상 논설위원





  • 본 사설의 논조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맞지 않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데스크칼럼 목록
    불행히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로 한국과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공포와 혼돈의 시대를 맞이하게 됐다. 결국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세계보건기구가 전세계적 유행병인 펜데믹을 선포하기에 이르렀다. 이전의 사스와 메르스 사태와는 감염자의 규모나…
    2020-03-27 
    정치(政治)의 사전적 의미는 ‘나라를 다스리는 일’이다. 국가의 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하며 행사하는 활동이다. 백성(국민)들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상호 간의 이해를 조정하며 사회 질서를 바로잡는 따위의 역할을 하는 것- 즉 자신과 다른 사람의 부조화로운 것, …
    2020-03-20 
    1995년 MBC 강변가요제에서 입상했던 ‘흥보가 기가 막혀’ 라는 노래가 있었다. ‘아, 헤아라 품파라…’로 시작하는 이 노래의 가사는 다 옮길 수는 없지만, 반사회적 악덕 인간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놀부’의 패악질에 늘 당하기만 하는 흥부의 기막힌 넋두리 풍…
    2020-03-13 
    한국내 중국 발 우한폐렴(코로나19) 추가 확진 환자가 5천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월 3일 오후 4시 기준, 추가 확진자 374명이 발생해 국내 전체 확진자는 총 5186명으로 늘었다고 발표했다. 지난 1월 20일 이 ‘돌림병’의 첫 확진자 발생 …
    2020-03-06 
    아파트 화단의 나무 가지에 꽃 망울이 트는걸 보니 이제 완연한 봄이다. 지난 주에 우수 (雨水)가 지났다. 우수는 추위가 풀리고 비가 내려서 나무에 싹을 틔우고 봄이 오는 것을 알리는 절기다. 이렇듯 봄은 자연 속에서 싹이 움트고 꽃을 피우는 생명의 계절임과 동시에 …
    2020-02-28 
    새로운 ‘미-한 동맹 지지’ 결의안(H.Res.809)이 지난 달 24일 미 하원에 상정됐다. 이는 지난 해 4월 초 미-한 정상회담 시기에 맞춰 발의됐던 미-한 동맹 지지 결의안(H.Res.30)에서 그 내용 일부가 수정된 것이다. 뉴욕주가 지역구인 민주당 톰 스와…
    2020-02-21 
    “우리는 죽음의 계곡에 들어간다. 여러분은 전우를 지켜주고 그 전우는 여러분을 지켜줄 것이다. 전우가 어떤 인종이건 어떤 종교를 가졌건 잊어라. 여러분은 전우이기 때문에 전우애만 생각하면 된다. 전투에 앞서 귀관들을 무사히 데려오겠다는 약속은 해줄 수 없다. 그러나 …
    2020-02-14 
    한 조직의 지도자가 공적인 발언이나 연설을 할 때는 내용이 분명하고 듣는 사람들에게 뭔가 메시지를 주어야 한다. 그래야 혼동이 없다. 혼동이 생기는 경우는 보통 두 가지이다. 그 첫째는 본인이 사안(事案)의 본질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참모가 일러준 대로 말하는 경…
    2020-02-07 
    “이게 나라냐?” 대나무 밭이 들어가 하루 종일 소리 지르고 싶은 요즘이다. 진보의 아이콘으로 활약(?)했던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마저도 이 정권에 대해서 정말 모지락스럽게 칼을 들이대고 있다. 마치 무슨 무협지나 50년대의 서부 영화를 되돌려 읽고 보는 것 같다.…
    2020-01-31 
    손용상 칼럼 / 짧은 글 깊은 생각 내일(1월25일)이 ‘설날’이다. 우리 사람들은 보통 태양력 새해를 맞으면 어느 정도 기분이 들뜬다. 그러다가 잠깐 그 기분이 가라앉을 만하면 또 다시 월력(月曆)의 새해, 즉 고유 명절인 ‘설날’이 기다리고 있어 다시 한 번…
    2020-01-24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을 지켜보았다. 그래도 뭔가 희망적인 일이 혹시나 있을까 싶어 채널을 돌리지 않았다. 역시나 결과는 아무 것도 없었다. 모든 분야에서 얘기 자체가 현실의 국민 생각과는 전혀 다른 화법이었다. 참 화도 나고 황당했기에, 그 얘긴 접어두고 다…
    2020-01-17 
    “조지 워싱턴대, 조국 부부 아들 대리시험은 부정 … 자체 조사” 최근 이런 기사가 나왔다. 근간 조국(曺國) 전 법무장관이 전격 기소되면서 공소장에 12가지 죄목이 적시되었다. 가장 ‘경악’할 것은 그의 아들 조모 씨에 관한 부정 대리시험 사건이었다. 공소장에 따르…
    2020-01-10 
    “지난 해 애 쓰셨네. 삶이란 수많은 처음을 만들어가는 시작(始作)의 연속이라네. 새해에는 좀 더 ’새로운 처음’이 되시길 바라네” 연말 연시가 되자 가끔 내 블로그 글을 읽고 비아냥도 서슴지 않던, 명색 ’진보연’ 하는 한국 친구 두 녀석이 송구영신 메시지…
    2020-01-03 
    올해의 막달, 금주가 지나면 새해가 됩니다. 잘 익은 실과(實果) 한 톨도 챙기지 못하고 또 한 해를 접으며 1년이라는 상자에 담아 놓았던 마음의 일기장을 새로이 펼쳐 봅니다. 사람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대다수가 나름대로 늘 정신 없이 달려 왔다고 합니다. 시간…
    2019-12-27 
    손용상 칼럼 / 짧은 글 깊은 생각 대학 교수들이 뽑은 '2019년 올해의 사자성어(四字成語)'로 공명지조(共命之鳥)가 선정됐다고 한다. 공명조(共命鳥)는 ‘아미타경’(阿彌陀經) 등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하나의 몸통에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새를 일컫는다고 한다.…
    2019-12-20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