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데스크칼럼

코로나19의 선거정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오피니언 댓글 0건 조회 2,997회 작성일 20-03-27 11:07

본문


불행히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로 한국과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공포와 혼돈의 시대를 맞이하게 됐다. 결국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세계보건기구가 전세계적 유행병인 펜데믹을 선포하기에 이르렀다. 이전의 사스와 메르스 사태와는 감염자의 규모나 희생자 측면에서 비교될 수 없을 정도이다.
한국에서는 정부와 의료진, 시민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희생으로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이 다소 완화되었으나 아직도 완벽한 통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과거의 한국 정부는 2003년에 유행했던 사스(SARS)와 2015년의 메르스(MERS)라는 호흡기 감염 사태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안일한 대응과 극심한 혼선이라는 시행착오를 겪어왔다. 그때의 시행착오를 좋은 경험으로 삼아 현정부의 코로나 감염에 대한 대응은 이전 정부와는 차원이 다른 신속성과 개방성, 투명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선거라는 정치의 대회전을 앞두고 의료재난에 대처하는 정부의 인식과 기능, 역량을 다시 한번 진지하고 체계적으로 평가해야 할 시점이 됐다.
우선 초기 대응 과정에서 코로나의 급격한 확산으로 인한 마스크 수급 부족 사태에서 보여지듯이 정부와 의료산업계에서 사전에 치밀히 예측하고 준비하지 못한 불가항력적인 과오가 분명히 존재한다. 또한 마스크의 생산과 공급, 구매에 대한 정부의 일관되고 신속한 정책과 지침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집행 과정에서 착오를 겪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코로나 바이러스의 급격한 확산을 예상하고 대규모 진단 키트를 준비하는 등 현 정부는 코로나의 국내 확산 이전부터 현재까지 신속하고 능동적인 대응은 주요 공적으로 평가받을 만하다.
언론의 평가를 보면 한국의 보수언론은 현정부의 대응에 대해 다소 비판적인 어조의 기사를 올리고 있다. 반대로 외신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한국의 대응으로 높이 평가해오고 있다. 개방성과 투명성, 그리고 성숙한 시민의식을 요체로 한 한국의 민주주의적 대응이 의료계의 헌신적인 노력과 함께 찬사를 받아왔다. New York Times는 3월 24일자로 발행된 한국은 어떻게 코로나 곡선을 완만하게 만들었는가 (“How South Korea Flattened the Curve”)라는 기사에서 한국 정부의 신속한 대응, 감염자의 동선을 대중에게 투명하게 공개, 감염자의 동선 추적과 격리, 그리고 국민들의 사회적 신뢰를 한국의 대응에서 배워야할 교훈으로 제시했다. 실제로 드라이브 스루(drive-thru)는 창의적인 방식으로 의료진의 감염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한 검사를 가능케 했다. 드라이브 스루 방식의 검사는 검사의 신속한 확대와 효율적인 검사를 필요로 하는 미국과 많은 유럽국가에서 현재 그 모델을 차용하여 시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종합해 보면 “정부의 자화자찬”이라는 평가에서부터 신종 코로나에 대처하는 “세계적인 롤 모델”이라는 양극적 평가까지 실로 부정과 긍정의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총선을 앞두고 정당과 정치집단은 객관적 사실과 정부의 공과에 대한 해석과 평가를 자신들의 정치적 이익과 부합되는 방향으로 평가를 진행해 왔다. 이 과정에서 심지어 사실과 여론의 왜곡도 마다하지 않는 실정이다. 사실 정당이나 정치집단, 그리고 정치인이 객관적인 진실을 정치 이익의 극대화를 위해 “정치적”으로 왜곡하거나 평가하는 행위 자체는 오래전부터 일상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이념과 정당 선호도 현 정부의 대응에 대한 평가에서 중요하게 작용할 수 밖에 없다. 때문에 코로나 사태에 대처해 온 현정부의 공과를 객관적 시각을 냉정하게 유지하면서 올바른 평가를 내리느냐에 있어 유권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미래의 주요 정책 입안자를 뽑는 과정에서 국민은 정부와 정당의 과거와 현재의 공과를 검토하여 최선 또는 차악의 선택을 하게 된다. 선거를 통해 생각보다 많은 것이 바뀔 수 있다. 선거 결과로 인해 정부의 정책이 지속되거나 변화될 수 있고, 또한 의료재난에 대응하는 정부의 역량이 강화될 수도 약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총선을 앞두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를 직면한 우리 국민의 냉철한 자세와 현명한 판단, 그리고 올바른 결정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최장섭

Texas A&M University-Commerce

정치학과 교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데스크칼럼 목록
    불행히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로 한국과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공포와 혼돈의 시대를 맞이하게 됐다. 결국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세계보건기구가 전세계적 유행병인 펜데믹을 선포하기에 이르렀다. 이전의 사스와 메르스 사태와는 감염자의 규모나…
    2020-03-27 
    정치(政治)의 사전적 의미는 ‘나라를 다스리는 일’이다. 국가의 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하며 행사하는 활동이다. 백성(국민)들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상호 간의 이해를 조정하며 사회 질서를 바로잡는 따위의 역할을 하는 것- 즉 자신과 다른 사람의 부조화로운 것, …
    2020-03-20 
    1995년 MBC 강변가요제에서 입상했던 ‘흥보가 기가 막혀’ 라는 노래가 있었다. ‘아, 헤아라 품파라…’로 시작하는 이 노래의 가사는 다 옮길 수는 없지만, 반사회적 악덕 인간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놀부’의 패악질에 늘 당하기만 하는 흥부의 기막힌 넋두리 풍…
    2020-03-13 
    한국내 중국 발 우한폐렴(코로나19) 추가 확진 환자가 5천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월 3일 오후 4시 기준, 추가 확진자 374명이 발생해 국내 전체 확진자는 총 5186명으로 늘었다고 발표했다. 지난 1월 20일 이 ‘돌림병’의 첫 확진자 발생 …
    2020-03-06 
    아파트 화단의 나무 가지에 꽃 망울이 트는걸 보니 이제 완연한 봄이다. 지난 주에 우수 (雨水)가 지났다. 우수는 추위가 풀리고 비가 내려서 나무에 싹을 틔우고 봄이 오는 것을 알리는 절기다. 이렇듯 봄은 자연 속에서 싹이 움트고 꽃을 피우는 생명의 계절임과 동시에 …
    2020-02-28 
    새로운 ‘미-한 동맹 지지’ 결의안(H.Res.809)이 지난 달 24일 미 하원에 상정됐다. 이는 지난 해 4월 초 미-한 정상회담 시기에 맞춰 발의됐던 미-한 동맹 지지 결의안(H.Res.30)에서 그 내용 일부가 수정된 것이다. 뉴욕주가 지역구인 민주당 톰 스와…
    2020-02-21 
    “우리는 죽음의 계곡에 들어간다. 여러분은 전우를 지켜주고 그 전우는 여러분을 지켜줄 것이다. 전우가 어떤 인종이건 어떤 종교를 가졌건 잊어라. 여러분은 전우이기 때문에 전우애만 생각하면 된다. 전투에 앞서 귀관들을 무사히 데려오겠다는 약속은 해줄 수 없다. 그러나 …
    2020-02-14 
    한 조직의 지도자가 공적인 발언이나 연설을 할 때는 내용이 분명하고 듣는 사람들에게 뭔가 메시지를 주어야 한다. 그래야 혼동이 없다. 혼동이 생기는 경우는 보통 두 가지이다. 그 첫째는 본인이 사안(事案)의 본질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참모가 일러준 대로 말하는 경…
    2020-02-07 
    “이게 나라냐?” 대나무 밭이 들어가 하루 종일 소리 지르고 싶은 요즘이다. 진보의 아이콘으로 활약(?)했던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마저도 이 정권에 대해서 정말 모지락스럽게 칼을 들이대고 있다. 마치 무슨 무협지나 50년대의 서부 영화를 되돌려 읽고 보는 것 같다.…
    2020-01-31 
    손용상 칼럼 / 짧은 글 깊은 생각 내일(1월25일)이 ‘설날’이다. 우리 사람들은 보통 태양력 새해를 맞으면 어느 정도 기분이 들뜬다. 그러다가 잠깐 그 기분이 가라앉을 만하면 또 다시 월력(月曆)의 새해, 즉 고유 명절인 ‘설날’이 기다리고 있어 다시 한 번…
    2020-01-24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을 지켜보았다. 그래도 뭔가 희망적인 일이 혹시나 있을까 싶어 채널을 돌리지 않았다. 역시나 결과는 아무 것도 없었다. 모든 분야에서 얘기 자체가 현실의 국민 생각과는 전혀 다른 화법이었다. 참 화도 나고 황당했기에, 그 얘긴 접어두고 다…
    2020-01-17 
    “조지 워싱턴대, 조국 부부 아들 대리시험은 부정 … 자체 조사” 최근 이런 기사가 나왔다. 근간 조국(曺國) 전 법무장관이 전격 기소되면서 공소장에 12가지 죄목이 적시되었다. 가장 ‘경악’할 것은 그의 아들 조모 씨에 관한 부정 대리시험 사건이었다. 공소장에 따르…
    2020-01-10 
    “지난 해 애 쓰셨네. 삶이란 수많은 처음을 만들어가는 시작(始作)의 연속이라네. 새해에는 좀 더 ’새로운 처음’이 되시길 바라네” 연말 연시가 되자 가끔 내 블로그 글을 읽고 비아냥도 서슴지 않던, 명색 ’진보연’ 하는 한국 친구 두 녀석이 송구영신 메시지…
    2020-01-03 
    올해의 막달, 금주가 지나면 새해가 됩니다. 잘 익은 실과(實果) 한 톨도 챙기지 못하고 또 한 해를 접으며 1년이라는 상자에 담아 놓았던 마음의 일기장을 새로이 펼쳐 봅니다. 사람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대다수가 나름대로 늘 정신 없이 달려 왔다고 합니다. 시간…
    2019-12-27 
    손용상 칼럼 / 짧은 글 깊은 생각 대학 교수들이 뽑은 '2019년 올해의 사자성어(四字成語)'로 공명지조(共命之鳥)가 선정됐다고 한다. 공명조(共命鳥)는 ‘아미타경’(阿彌陀經) 등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하나의 몸통에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새를 일컫는다고 한다.…
    2019-12-20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