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칼럼

2020년 홈 바이어가 클로징 금액을 잘못 송금한 11,000건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부동산 댓글 0건 조회 2,753회 작성일 21-10-22 09:22

본문

전국 부동산 중개인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는 작년에 부동산 관련 사기와 관련된 불만이 13,000건 이상 발생한 것으로 발표했다. 

사기 수법중 사람들이 가장 쉽게 당하고, 피해가 큰 사기는 부동산 이메일 사기인데, 이메일 사기는 FBI에서 사이버 사기의 상위 10위 중에 7위에 해당하는 사기행위이다. 

부동산 거래에 있어서 가장 많은 사고이자, 가장 큰 사고가 클로징 금액 송금 사고다. 부동산 에이전트나 타이틀 회사 직원을 가장해 바이어에게 이메일을 보내 클로징 비용을 특정 어카운트로 송금할 것을 요구한 후 돈을 가로채는 사기행각이다. 

FBI에 따르면 사기범들은 홈바이어, 셀러, 변호사, 부동산 에이전트 등 주택거래와 연관된 사람의 이메일 어카운트를 해킹, 바이어의 에스크로 클로징 날짜를 알아낸 후 에이전트나 타이틀 회사 직원을 가장해 클로징 비용을 송금해야 하는 어카운트 정보를 보내고, 계좌로 돈을 보낼 것을 요구한다. 

만약 바이어가 이런 요구에 속아 돈을 송금할 경우 몇 분 내로 본인의 금융계좌에서 돈이 사라지며, 일단 사기범이 바이어가 송금한 돈을 인출해 잠적하면 바이어는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는 게 문제다. 

‘그런 일이 있겠어’ 하는 의문도 있겠지만, 실제로 바이어들이 사기에 당하는 이유는 종종 서둘러야 하는 부동산 클로징 절차의 특성과 실제로 이메일은 클로징시 필요한 돈을 송금하기 위한 가이드 지침을 알려주는데 사용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NAR를 대표하는 변호사는 최근의 사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현재 사이버 도둑들이 잠재적인 피해자를 스토킹하는데 부지런해지고 있다. 그들은 공개된 부동산 사이트에서 ‘Pending or Under Contract’이라고 표시된 매물을 찾은 다음, 소셜 미디어에서 프로필을 만들고 거짓 주소로 이메일을 해킹한다. 한 가지 긍정적인 통계는 이러한 절도가 24시간 이내에 FBI와 같은 법 집행기관에 보고되면 절도된 자금의 회수율은 82%에 이르기 때문에, 빠른 행동이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사기를 당했을 때 매우 당황하고, 그 결과 FBI에 따르면 약 15%만이 당국에 신고한다.” 

최근에는 사이버 도둑이 훔친 자금을 암호화폐로 세탁할 수 있다. 이 경우 송금 경로를 뒤섞는 ‘텀블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거래를 추적하기가 훨씬 더 어려워졌다고 한다. 

일단 디지털 통화로 전송되면 특수 소프트웨어가 거래를 은폐하고 자금을 숨길 수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거의 모든 경우에 있어 가장 간단한 안전장치는, 송금하기 바로 직전에 타이틀(소유권) 회사에 담당 에스트로 직원과 본인이 직접 통화로 모든 정보를 유선상으로 다시 확인 한 후 보내는 것이다.

 

 

사이먼 윤

Remax DFW Associates

SIMON.YOON@RMDFW.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문가칼럼 목록
    ‘No Salt No Deal’을 한국어로 직역하면 ‘소금이 없으면 협상도 없다’로 번역할 수 있는데, 이것은 지금 미국 의회에서 가장 뜨거운 논란거리 중 하나다.  S.A.L.T.는 ‘State And Local Tax’의 준말로 주정부나 카운티, 시정부에서 부과하는…
    세무회계 2021-11-05 
    모두가 아시다시피 칼슘은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되는 영양소 중 하나입니다. 많은 사람이 칼슘이 뼈를 구성하는 성분이며 뼈를 튼튼하게 하려면 칼슘이 많이 들어 있는 음식을 많이 먹어야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칼슘이 뼈를 건강하게 해주는 것 이외에도 아…
    건강의학 2021-11-05 
    할로윈(Halloween)만 되면 마녀가 장난을 치는지 기온이 뚝 떨어지곤 했었다. 내내 덥던 날씨가 한기가 느껴질 정도로 쌀쌀해져서 얇디얇은 코스튬을 입은 아이들이 감기 걸리면 어쩌나 걱정스러웠는데, 올해는 걸어 다니기 딱 좋은 날씨였다. 할로윈의 백미는 트릭 오어 …
    문화 2021-11-05 
    안녕하세요! 단풍이 지는 11월입니다. 가을의 단풍을 보고 있노라면 현재 좋지 않을 일로 세상이 떠들썩해도 자연의 변화와 섭리는 우리가 어떻게 할 수 없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됩니다.매장에서 손님들이 산 품목들을 보면서 최근 판매되는 경향을 숫자 등의 자료가 아닌 실제…
    건강의학 2021-11-05 
    요즘 경제뉴스와 주식관련 뉴스에 하루도 꼭 빠지지 않고 들리는 한 단어가 있다면 ‘Tapering’일 것이다. 누구나 한번쯤 여기저기서 테이퍼링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았을 것이다. 테이퍼링이란 사전적 의미로 ‘점점 가늘어지다’인데, 콸콸 흘러나오는 수도 꼭지를 조금씩 잠그…
    부동산 2021-11-05 
    성당에서의 장례식, 코왈스키가 인상을 찌푸린다. 왜냐면 그에게는 엄숙한 장례식장에서 손자와 선녀들이 떠드는 모습이 눈에 거슬렸기 때문이다. 코왈스키는 아내의 장례식이 끝나고 집에서 음식을 함께 나누는데, 자신은 조문객들과 대화도 나누지 않고 집안을 여기저기 치운다. 그…
    문화 2021-11-05 
    한국인의 짜고, 매운 음식 사랑에 육류 위주의 서구식 식습관까지 더해진 탓에 매년 대장암 발병률은 매우 증가하는 추세다. 실제로 한국인의 대장암 발병률은 세계 1위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 암연구소(IARC)가 세계 184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세계 대장암…
    건강의학 2021-10-29 
    고 이건희 회장은 2014년 심근경색으로 쓰러진 뒤 수년간의 투병 끝에 지난해인 2020년 10월25일 향년 78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25일 고 이건희 회장의 1주기를 새롭게 도약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밝히면서, 이제 겸허한 마음으로 새로…
    세무회계 2021-10-29 
    팬데믹 이후 주변의 공원들을 탐색하기 시작했다. 돈 들이지 않고 운동이 되면서 신선한 공기를 실컷 마실 수 있는 방법으로는 공원산책 만한 것이 없다. 몇 년전까지만 해도 만보 걷기니 뭐니 해서, 기를 쓰고 운동목적으로 공원을 찾아 다녔지만, 지금은 그냥 야외 나들이 가…
    문화 2021-10-29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즐거운 한 주 보내셨는지요. 선선한 바람과 화창한 날씨가 팍팍한 우리 생활에 조금이나마 위로를 주는 요즘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요즘 같은 가을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하면 따뜻한 국물음식이 생각납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은 국물요리에 들어가면 마…
    건강의학 2021-10-29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전 세계적 인기를 끌면서 해외 언론의 논평도 이어지고 있다. ‘오징어 게임’의 내용을 한국 자본주의의 현실과 연결짓는 내용이 대다수다. 드라마의 배경에는 가계 부채와 집값 폭등, 열악한 노동환경, 사회적 불평등 같은 한국 사회의 현실이…
    부동산 2021-10-29 
    이번 주 휴람의료정보에서는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 혈관 건강 지키는 방법에 대해 휴람 의료네트워크 강남병원 순환기내과의 도움을 받아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9월 29일은 매년 늘어나는 심혈관질환에 대한 경각심과 인식개선을 위해 세계심장연맹이 제정한 ‘세계 심장의 날’…
    건강의학 2021-10-22 
    미국에서는 자동차 사고가 난 후 보험회사와 연락하여 보상을 받기 까지는 상당한 시간과 때에 따라서는 인내도 요구된다. 특히 상대방의 잘못으로 사고가 발생하여 상대측의 회사를 상대로 클레임을 하는 동안 냉정함을 잃지 않도록 돕기 위해 몇 가지 요령을 소개하고자 한다.  …
    보험 2021-10-22 
    요즘 장보기가 무섭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 한국마켓이나 미국마켓이나 모든 식료품값이 올랐을 뿐 아니라 코로나 19에 비교적 저렴했던 자동차 개스가격도 하루가 다르게 치솟고 있다.미국의 중앙은행격인 Federal Reserve는 11월 중으로 지금까지 해오던 자산매입축소…
    세무회계 2021-10-22 
     피터 스카지로 목사님의 ‘정서적으로 건강한 영성’, 오디오 멤버들에게 이 책을 소개하고 함께 읽기를 결정하기까지 많은 고민을 해야 했다.관상, 관상적 영성, 관상기도에 대한 문제가 한국교단에서 문제가 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생명의 말씀사에서 2008년 2월 20일…
    문화 2021-10-22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