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고대진] 어머니의 메모장

페이지 정보

작성자 NEWS
문화 댓글 0건 조회 71회 작성일 25-06-06 18:12

본문

고대진 작가


◈ 제주 출신

◈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 에세이집 <순대와 생맥주>



올해 일월 초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아흔일곱 살이셨다. 백 살이 가까워지면서 항상 돌아가실 수 있음을 예상하였지만, 막상 한국에서 온 동생의 전화를 받고 나니 “이번 4월에 가서 뵈려고 비행기표를 다 사 놨는데. 마지막으로 한 번 더 뵐 수 있었으면 좋았을 텐데“라며 아쉬워했다. 어머니를 모시고 살던 동생 말로는 집에서 당신 방에서 주무시다가 돌아가셨으니 참 평안한 임종을 맞으신 것 같았다. 며칠 전 병자성사도 받으시고 미사도 집에서 하신 뒤라서 보내는 형제들이 모두 평안한 마음으로 보내 드릴 수 있었다.


급히 비행기표를 구해서 서울로 향했다. 장례식 전에는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한국의 추위는 기록적이었지만 동생들이 다 잘 준비해주어 무사히 장례를 마쳤다. 장례 후 어머니의 방을 정리하던 동생이 어머니가 남기신 메모장을 발견했다. 돌아가시기 전까지 매일 메모를 하시며 공부하시던 어머니라 어떤 것을 쓰셨을까 굼금했는데 노트 하나 분량의 메모장 첫 페이지는 “공부는 나 자신과의 싸움이다” 라고 쓰여 있고 그 아래 신문이나 잡지를 보면서 잘 모르는 단어를 찾으셔서 의미와 해설을 일본어, 영어, 한글로 쓰신 것이 있었다. 칼럼니스트, 테크노크라트(technocrat), 컨소시엄(consortium), 패러다임(paradigm), 마스터플랜(master plan) 등등의 용어를 해설한 것들이었다. 평소에도 잡지나 신문을 읽으시며 모르는 단어를 찾아 쓰시고 공부하시던 어머니를 떠올렸다. 아마도 최근에 일본 잡지 ‘문예춘추’를 읽으시면서 나오는 단어 중 모르는 단어를 써 놓은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어머니는 돌아가실 때까지 역사와 사회 그리고 자신을 공부하려 했다. 우선 모든 것에 호기심이 많으셔서 왜 그러는지 또 무엇인지 알고 싶어 하셨다. 책을 많이 읽으시며 인간과 세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키우려고 하셨던 것 같다. 그러니 지적으로 개을러지려는 자신과 싸우며 공부를 하신 것 같다. 누구에게 보이려는 공부가 아니라 자신과 세계를 알고 싶어 하는 열망이 죽는 날까지 계속 공부하게 만드신 것 아닐까? 


공부(工夫)란 무엇인가? 이명복 교수의 책 <담론>을 보면 한자로 공(工)과 부(夫)는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주체가 사람이라는 뜻으로 농기구로 땅을 파헤쳐 농사를 짓는 일이라고 한다. 그런 의미에서 공부는 살아가는 그 자체이고 살아가기 위해서 공부를 해야 한다고 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터전인 세계와 세계 속에 존재하는 나 자신에 대해, 자연과 사회 그리고 역사와 나 자신을 공부해서 인간과 세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키우는 것이 공부라고 한다. 


공부는 도를 구한다는 구도(求道)라고도 하는데 道(길)를 구하는 데는 반드시 고행이 전제되고 그 고행의 총화가 공부라고 한다. 즉 공부는 고생 그 자체이고 고생하면 세상을 잘 알게 되고 철도 든다. 어머니의 메모장에 쓰인 ‘공부는 자신과의 싸움이다’도 아마 구도에 대한 고행을 뜻하신 것이 아닌가 한다. 


이명복 교수의 <담론>은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공부는 우리를 가두고 있는 완고한 인식틀을 망치로 깨뜨리는 것에서 시작된다. 고행이 공부가 되기도 하고 방황과 고뇌가 성찰과 각성이 되기도 한다. 공부하지 않는 생명은 없다. 달팽이도 공부한다. 지난여름 폭풍 속에서 세찬 비바람 견디며 열심히 세계를 인식하고 자신을 깨달았을 것이다. 공부는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의 존재 형식이다. 


어머니를 생각하면 안도현의 시 <스며드는 것>이 떠오른다. 

“꽃게가 간장 속에/ 반쯤 몸을 담그고 엎드려 있다/ 등판에 간장이 울컥울컥 쏟아질 때/ 꽃게는 뱃속의 알을 껴안으려고/ 꿈틀거리다가 더 낮게/ 더 바닥 쪽으로 웅크렸으리라/ 버둥거렸으리라 버둥거리다가/ 어찌할 수 없어서/ 살 속으로 스며드는 것을/ 한 때의 어스름을/ 꽃게는 천천히 받아들였으리라/ 껍질이 먹먹해지기 전에/ 가만히 알들에게 말했으리라/ 저녁이야 불 끄고 잘 시간이야”


알을 품고 있는 암게가 알들에게 마지막으로 읊조리는 위안의 말 같이 어머니는 돌아가시며 말씀하시는 것 같다. 공부는 나 자신과의 싸움이다. 그 뒤에는 깨달음이 있단다. 


연암 박지원의 시 <연암에서 돌아가신 형님을 생각하며>를 생각한다. 

“나의 형님 얼굴과 수염은 누구와 닮았었나?/ 돌아가신 아버님 생각날 땐 내 형을 보았지./ 오늘도 형님이 생각나 어디 계신지 보고 싶어/ 의관 갖추고 시냇물 위에 내 모습 비춰보네.“ 


돌아가실 때까지 자식들에게 구도의 길을 보여주신 어머니. 어머니가 생각이 나면 나는 어떡하나? 옆에 있는 누나의 모습을 보나? 내 생각에 비치는 내 모습을 볼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문가칼럼 목록
    김미희 시인 / 수필가“속이 다 시원해. 십 년 묵은 체증이 이제야 내려간 것 같아!”  밤늦은 퇴근이었지만, 집에 오자마자 불을 켜고 뒤란으로 나갔다. 이제나저제나 하며 참아왔던 날이 드디어 오늘이었다. 끝내 참지 못하고 뒤란 정원을 깨끗이 뒤엎어 버렸다. 능소화가 …
    문화 2025-07-24 
    공학박사 박우람 서울대 기계공학 학사, 석사미국 Johns Hopkins 대학 기계공학 박사UT Dallas 기계공학과 교수재미한인과학기술다 협회 북텍사스 지부장지구의 오존층이 파괴되고 있다며 떠들썩했던 시절이 있었다. 오존층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을 막아주는 차단…
    문화 2025-07-24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아스펜에서 오랜 시간을 보낸다는 설레임에 풍성한 여행계획과 여행의 만족을 기대 하면서 특히 록키 산속의 아름다운 뮤직텐트에서 최고의 피아니스트 조성진의 아름다운 피아노 연주를 기대할 수 있다는 흥분감에 긴 장거리 여행의 피곤함은 …
    문화 2025-07-24 
    오종찬(작곡가, 달라스 한국문화원장) 로키산맥을 동서로 연결하는 82번 도로를 따라 10000 피트가 넘는 로키의 멋진 산의 그림자를 담고 있는 Twin Lakes과 더불어 포장된 고갯길로 미국에서 가장 높은 고갯길인 해발 12,095 ft (3,687 m) Indep…
    문화 2025-07-18 
    박인애 (시인, 수필가) 물길 위에 멈춘 시간 / 박인애  지난 독립기념일, 텍사스 중부 힐 컨트리 지역에 국지성 폭우가 쏟아졌다. 5일 새벽 과달루페강(Guadalupe River) 수위가 45분 만에 26피트가량 상승하면서 강물이 범람하여 큰 홍수로 이어졌다. 이번…
    문화 2025-07-18 
    오종찬(작곡가, 달라스 한국문화원장)사람들과 같이 이상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은 각자의 지식이나 우월성을 점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의 솔직한 생각을 서로에게 할 수 있어 부담이 없습니다. 작품에 대한 깊은 지식은 없지만 작품에 대해 느끼는 것을 솔직히 이야기 하며 …
    문화 2025-07-11 
    고대진 작가◈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순대와 …
    문화 2025-07-10 
    크리스틴 손, 의료인 양성 직업학교, DMS Care Training Center 원장(www.dmscaretraining.com / 469-605-6035) 의료 커리어의 시작, DMS Care Training병원에서 심전도 검사를 받아본 경험이 있으신가요?가슴에 전…
    문화 2025-07-10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지난주에 많은 비가 내리더니 여름 내내 100도를 넘는 살인더위가 어느덧 빗줄기에 씻겨 내려가 아침 저녁으로는 제법 쌀쌀한 기운을 더합니다. 지난 시간은 달라스 한국문화원 가족들과 내내 같이 방문했던 산타페(Santa Fe)의 아…
    문화 2025-07-02 
    박혜자 미주작가 / 칼럼리스트인천항에서 출발하는 노르웨이지언 크루즈를 타며, 나는 우리나라도 비로소 국제 크루즈시대가 열렸다는 걸 알게 되었다. 지금껏 크루즈들이 거쳐간 수 많은 항구중 우리나라 항구는 한 곳도 없어, 아쉬웠는데, 한류에 힘입어, 드디어 인천이 국제 크…
    문화 2025-07-02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1970년대의 일이다. 한국에 처음으로 경부고속도로가 건설될 무렵 한국에는 최신형 고속버스가 도입 되었고 그 당시 고속버스 운전사는 아주 특별한 대단한 직업으로 인식이 되었던 시절이 있습니다. 아마도 한국에서의 희소성의 원칙에 따…
    문화 2025-06-26 
      백경혜 수필가    대학 졸업을 앞둔 아들과 여행을 떠났다.  타지 생활 동안 제대로 된 여행 한번 못했던 아들이 이 길 끝에서 어떤 위안을 얻길 바랐다. 졸업식에 맞춰 다른 가족들이 도착하기 전, 며칠을 내어 스모키 마운틴으로 향했다.  굽이진 산길을 따라 올라가…
    문화 2025-06-26 
    공학박사 박우람 서울대 기계공학 학사, 석사미국 Johns Hopkins 대학 기계공학 박사UT Dallas 기계공학과 교수재미한인과학기술다 협회 북텍사스 지부장남아메리카에서 인기 있는 트레스 라체스 케익(Tres Leches Cake)은 이름 그대로 케익에 세 가지 …
    문화 2025-06-26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  저는 꽃을 매우 좋아합니다. 마당에 가지런히 심은 각종 꽃으로부터 물가 너머로 들녘을 아름답게 장식한 이름 모를 야생화까지 마음의 한 구석 응어리진 부분을 털어버리고 세상에 영롱한 빛을 품게 하는 오색찬란한 꽃들을 좋아합니다.…
    문화 2025-06-20 
    김미희 시인 / 수필가 감격이란, 오직 자기 자신과 대상과의 관계에 깊이 몰입할 때 찾아오는 강렬한 감정이라고 합니다. 가깝지만 쉽게 닿을 수 없는 것, 눈에 보이지만 손에 넣기 어려운 순간. 특히 스포츠에는 신기록과 우승이라는 뚜렷한 목표가 있어, 감격의 순간이 끊임…
    문화 2025-06-20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