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앤디의 머그잔 이야기’] 음악을 감상하시려면 이분법(Dichotomy) 잣대를 버리세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문화 댓글 0건 조회 79회 작성일 25-06-06 18:20

본문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

우리는 세상이 많은 사람이 그러하듯 모든 것을 나누고 가치의 기준으로 삼는 이분법(Dichotomy)에 익숙해 있는 듯 합니다. 모든 서양철학이 근본이 그러하듯이 두 부분으로 나누는 것을 의미하는 이 용어(헬라어의 dicha는 '두 쪽으로'를 의미하고, temnein은 '나누기'를 의미합니다)는 신학적으로 인간이 존재에 있어서 영혼과 육체라는 두 가지의 기본적인 부분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며 인간의 본질에 접근을 할 때 사용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그 이분법의 두 가지는 실로 대조적이고 상이한 기원을 갖고 있으며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들로서 간주되는 범주에 있습니다. 이로 인해서 영혼과 육체를 비롯한 이분법의 문제는 우리 사회에 실로 어려운 문제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육체와 영혼’ ‘선과 악’ 등 우리가 흔히 서양철학에서 가까이 할 수 있는 이분법의 예들인데 때로는 이들이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어왔었습니다. 그러나 저에게는 그 자체를 이분으로 보는 서양의 차가운 철학보다는 동양의 음양, 즉 이분법적으로 두 대상을 그대로 보는 데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서로 조화를 이루며 상호작용을 한다고 보는 동양적인 사고 또한 나에게는 무척 친근감이 더해집니다. 어쩌면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을 우주로 보고 인간을 소우주로 구분시켰던 고대 로마제국의 음악이론가 보에티우스의  ‘음악의 원리’에 보면 우주의 음악이란 우주의 질서와 자연의 질서(예를 들면 사계절) 등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인간의 음악은 우주적 질서의 원리가 소우주인 인간에도 적용되어 인간의 영혼과 육체, 각 부분간의 조화와 연관 그리고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있던 것처럼 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음악에 있어서도 서양철학에 근거한 이분법의 잣대를 적용하는 듯 합니다. 중세시대의 교회음악과 세속음악이 그러했고 현대의 장르구분 또한 그러합니다. 가끔 사람들이 나에게 ‘당신은 클래식을 공부하였습니까 아니면 대중음악을 공부하였습니까?’ 라고 물어올 때에 나는 참 난처한 입장에 빠지곤 합니다. 그래서 나는 그냥 웃으며 순수음악을 전공했노라고 얘기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서양음악을 공부를 하고 있으면 대부분이 클래식을 전공을 한다고 말하는데 여기에는 약간의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클래식음악이란 18세기 중반에서19세기 초까지 음악을 말하니까 말입니다. 즉 클래식 음악을 공부한다는 것은 18,19세기 음악을 공부합니다 라는 표현과도 일치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음악을 공부한다는 것은 클래식을 공부한다는 편견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클래식은 대중음악보다는 한 단계 수준 높은 음악으로 평가를 매길 때가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클래식음악의 의미를 생각하지도 않고 말입니다. 18,19세기의 클래식음악은 그 당시의 대중음악이었던 사실을 알고 있다면 대중음악과 클래식음악의 오묘한 조화를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베토벤의 음악도 엄연히 당시의 대중음악이었던 사실을 많은 사람이 알고 있을까요?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지금도 클래식음악과 대중음악을 구분하는 이중잣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쩌면 서양문명에 익숙한 우리의 대조적이고 상이한 서양철학의 가치판단의 기준에 의한 이분법적 구분론의 희생자가 되어있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나는 감히 많은 분들에게 이분론적인 두 대상이 구분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조화와 질서, 그리고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동양적 사고 또한 매우 중요한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러면 우리에게 클래식이냐 대중음악이냐의 논쟁이 없어지지 않을까요? 21세기에는 20세기 대중음악이 클래식음악으로 바뀔지도 모르니까 말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문가칼럼 목록
    김미희 시인 / 수필가“속이 다 시원해. 십 년 묵은 체증이 이제야 내려간 것 같아!”  밤늦은 퇴근이었지만, 집에 오자마자 불을 켜고 뒤란으로 나갔다. 이제나저제나 하며 참아왔던 날이 드디어 오늘이었다. 끝내 참지 못하고 뒤란 정원을 깨끗이 뒤엎어 버렸다. 능소화가 …
    문화 2025-07-24 
    공학박사 박우람 서울대 기계공학 학사, 석사미국 Johns Hopkins 대학 기계공학 박사UT Dallas 기계공학과 교수재미한인과학기술다 협회 북텍사스 지부장지구의 오존층이 파괴되고 있다며 떠들썩했던 시절이 있었다. 오존층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을 막아주는 차단…
    문화 2025-07-24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아스펜에서 오랜 시간을 보낸다는 설레임에 풍성한 여행계획과 여행의 만족을 기대 하면서 특히 록키 산속의 아름다운 뮤직텐트에서 최고의 피아니스트 조성진의 아름다운 피아노 연주를 기대할 수 있다는 흥분감에 긴 장거리 여행의 피곤함은 …
    문화 2025-07-24 
    오종찬(작곡가, 달라스 한국문화원장) 로키산맥을 동서로 연결하는 82번 도로를 따라 10000 피트가 넘는 로키의 멋진 산의 그림자를 담고 있는 Twin Lakes과 더불어 포장된 고갯길로 미국에서 가장 높은 고갯길인 해발 12,095 ft (3,687 m) Indep…
    문화 2025-07-18 
    박인애 (시인, 수필가) 물길 위에 멈춘 시간 / 박인애  지난 독립기념일, 텍사스 중부 힐 컨트리 지역에 국지성 폭우가 쏟아졌다. 5일 새벽 과달루페강(Guadalupe River) 수위가 45분 만에 26피트가량 상승하면서 강물이 범람하여 큰 홍수로 이어졌다. 이번…
    문화 2025-07-18 
    오종찬(작곡가, 달라스 한국문화원장)사람들과 같이 이상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은 각자의 지식이나 우월성을 점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의 솔직한 생각을 서로에게 할 수 있어 부담이 없습니다. 작품에 대한 깊은 지식은 없지만 작품에 대해 느끼는 것을 솔직히 이야기 하며 …
    문화 2025-07-11 
    고대진 작가◈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순대와 …
    문화 2025-07-10 
    크리스틴 손, 의료인 양성 직업학교, DMS Care Training Center 원장(www.dmscaretraining.com / 469-605-6035) 의료 커리어의 시작, DMS Care Training병원에서 심전도 검사를 받아본 경험이 있으신가요?가슴에 전…
    문화 2025-07-10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지난주에 많은 비가 내리더니 여름 내내 100도를 넘는 살인더위가 어느덧 빗줄기에 씻겨 내려가 아침 저녁으로는 제법 쌀쌀한 기운을 더합니다. 지난 시간은 달라스 한국문화원 가족들과 내내 같이 방문했던 산타페(Santa Fe)의 아…
    문화 2025-07-02 
    박혜자 미주작가 / 칼럼리스트인천항에서 출발하는 노르웨이지언 크루즈를 타며, 나는 우리나라도 비로소 국제 크루즈시대가 열렸다는 걸 알게 되었다. 지금껏 크루즈들이 거쳐간 수 많은 항구중 우리나라 항구는 한 곳도 없어, 아쉬웠는데, 한류에 힘입어, 드디어 인천이 국제 크…
    문화 2025-07-02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1970년대의 일이다. 한국에 처음으로 경부고속도로가 건설될 무렵 한국에는 최신형 고속버스가 도입 되었고 그 당시 고속버스 운전사는 아주 특별한 대단한 직업으로 인식이 되었던 시절이 있습니다. 아마도 한국에서의 희소성의 원칙에 따…
    문화 2025-06-26 
      백경혜 수필가    대학 졸업을 앞둔 아들과 여행을 떠났다.  타지 생활 동안 제대로 된 여행 한번 못했던 아들이 이 길 끝에서 어떤 위안을 얻길 바랐다. 졸업식에 맞춰 다른 가족들이 도착하기 전, 며칠을 내어 스모키 마운틴으로 향했다.  굽이진 산길을 따라 올라가…
    문화 2025-06-26 
    공학박사 박우람 서울대 기계공학 학사, 석사미국 Johns Hopkins 대학 기계공학 박사UT Dallas 기계공학과 교수재미한인과학기술다 협회 북텍사스 지부장남아메리카에서 인기 있는 트레스 라체스 케익(Tres Leches Cake)은 이름 그대로 케익에 세 가지 …
    문화 2025-06-26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  저는 꽃을 매우 좋아합니다. 마당에 가지런히 심은 각종 꽃으로부터 물가 너머로 들녘을 아름답게 장식한 이름 모를 야생화까지 마음의 한 구석 응어리진 부분을 털어버리고 세상에 영롱한 빛을 품게 하는 오색찬란한 꽃들을 좋아합니다.…
    문화 2025-06-20 
    김미희 시인 / 수필가 감격이란, 오직 자기 자신과 대상과의 관계에 깊이 몰입할 때 찾아오는 강렬한 감정이라고 합니다. 가깝지만 쉽게 닿을 수 없는 것, 눈에 보이지만 손에 넣기 어려운 순간. 특히 스포츠에는 신기록과 우승이라는 뚜렷한 목표가 있어, 감격의 순간이 끊임…
    문화 2025-06-20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