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매거진

[부동산 전망] 2023 하반기 주택시장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부동산파트너 댓글 0건 작성일 23-07-31 17:03

본문

모기지 금리가 계속해서 높아지고 일부 지역에서는 주택 판매가 감소하며 주택 가격까지 내려가는 조짐을 보이면서 주택시장에 불확실성이 퍼져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를 망설이게 하고 있다. 

7월 초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다시 7퍼센트에 가까워졌다. 부동산중개사협회(NAR)의  최근 기존주택 판매 보고서에 따르면 기존주택 판매는 지난 봄 이후로 20퍼센트 이상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모기지 금리, 주택 가격, 구매자 경쟁, 주택 공급, 판매 활동, 주택 가격 등이 올 하반기에 어떤 방향성으로 갈 것인지에 대해 다양한 예측과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으며 실제로 금리가 훨씬 더 상승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부동산 웹사이트 Awning의 데니스 쉬르쉬코브(Dennis Shirshikov)는 “지속되는 인플레이션, 전반적으로 높은 이자율, 잠재적인 경기 침체, 그리고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30년 및 15년 모기지 금리는 2023년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단기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이 두 금리는 점점 더 가까워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2023년 30년 및 15년 기준 모기지 대출이 각각 평균 8.75% 및 8.25%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Creighton University의 Heider 경영 대학교의 금융 교수인 로버트 존슨(Robert Johnson) 역시 비슷한 의견을 피력했다. 존슨은 “연말까지 30년 및 15년 모기지 금리가 각각 8.50% 및 7.70%정도가 될 것이다.”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희망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부동산 컨설팅 회사 CJ Patrick Company의 창립자이자 CEO인 릭 샤르가(Rick Sharga)는 올해 중반 30년 및 15년 대출금에 대한 이율이 각각 약 8% 및 7.25%로 정점을 찍은 뒤 점차적으로 내려가 올해 말에는 약 6.0% 및 5.25% 범위에서 유지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나디아 에반젤로(Nadia Evangelou) 부동산 중개인협회(NAR)의 수석 경제학자 겸 부동산 연구 담당 국장은 연방준비제도의 앞으로의 행보에 따른 올 하반기에 대한 세 가지 잠재적 모기지 금리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시나리오 1 : 인플레이션이 계속 높게 유지되어 연방준비제도가 이자율을 계속 인상하도록 작용한다. 이는 모기지 금리가 계속 상승하여 8.5 퍼센트 근처로 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나리오 2 : 소비자가격지수가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에 더욱 반응하고 인플레이션의 점진적인 감속이 발생하여 모기지 금리가 7 퍼센트에서 7.5 퍼센트 근처에서 안정화된다.

시나리오 3 : 연방준비제도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계속 올리고 경제가 경기 침체에 빠지게 된다. 이는 금리가 5 퍼센트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반젤로는 세 시나리오는 모두 주택 판매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인데 모든 경우에 판매는 줄어들 것이며 다만 얼마나 줄어들 것인가에 대한 문제라고 밝혔다. 그는 “시나리오 1은 높은 이자율로 인해 내년에는 주택 판매가 10% 이상 감소할 수 있다. 시나리오 2는 주택 판매가 7%에서 8% 감소한다. 시나리오 3은 주택 활동이 15% 이상 더 감소할 수 있다.” 고 덧붙였다. 

 

주택 가격은? 

전문가들은 구매자들에게 주택가격의 급락을 기대하지 말라고 조언한다. 에반젤로는 올해 하반기에 주택 가격이 떨어지지 않을 것이며 가격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모기지 금리의 의미 있는 하락이 있다면 구매자들에게 미치는 부담을 약간 완화시키는 정도라는 것이다. 올해 상반기 가격이 많이 내린 곳은 과열되었던 지역들에 불과하다. 부동산회사 레드핀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두 자릿수 감소를 보인 시장은 이전의 핫스팟인 오스틴(전년 대비 17.8% 하락), 오클랜드(16.3% 하락), 샌프란시스코(13.1% 하락), 라스베이거스(11.4% 하락) 등 이였다.

 

주택 재고량은? 

지난 몇 년 동안 주택시장의 열기를 부추긴 요인 중 하나는 주택 공급부족이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2023년 주택 재고량 전망에 대해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다.

샤르가는 “2008년 주택 시장 붕괴 전에는 재고량이 13개월 분량으로 정점에 이르렀는데, 이는 건강한 시장에서 볼 수 있는 수량의 두 배였다.”면서 “최근에는 약 3개월 분량의 재고량인데 이는 필요로 하는 양의 절반이다. 현재 주택 소유자들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3%의 모기지를 7% 이자율의 새 주택으로 바꾸지 않을 것이므로 기존의 주택 재고는 계속해서 부족할 것이다. 그리고 신규 건설로 인한 공급량의 큰 증가도 바로 가능하진 않다.” 말했다.

공급량이 적어도 약간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전문가도 있다. 존슨은 “시장의 회복을 기대하며 기다리는 많은 주저하는 판매자들이 곧 항복할 가능성이 크며 이로 인해 주택 공급량은 늘어날 것이다.”라고 말했다.

미국 주택건설자협회(NAHB)에 따르면 실제로 신축 주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주택 공급 부족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NAHB 데이터에 의하면 5월에는 163만채의 단독주택이 착공되었고 이는 11개월 만에 최고치이다. NAHB 회장인 알리시아 휴이는 6월 성명에서 “건설업자들이 충족되지 않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산을 늘렸기 때문에 5월에는 단독주택 허가와 착공이 증가했다.”라고 밝혔다.

 

구매자 시장? 판매자 시장? 

지난 2년 동안은 확실한 판매자 시장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구매자들이 다시 일부 지위를 회복하는 지역도 있다. 2023년 하반기는 구매자와 판매자, 누구에게 더 유리할까?

한 전문가는 “가격 부담과 경제적 우려로 인해 주택 구매자의 수요가 줄어들고 판매 가능한 주택의 재고는 여전히 제한적일 것이다. 따라서 한쪽으로 치우치기보다는 균형 잡힌 시장이 계속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시장 유형에 따라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팬데믹 기간 재택 근무로 인해 교외의 큰 주택을 선호하는 등 주택 시장에 변화가 있었고, 기업들이 사무실로 복귀했기 떄문에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는 기대가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2023년 하반기 주택 시장에 대한 큰 그림에서 보면 불확실성을 보이는 전환기일 것이라는 데 공감하고 있다.

미지근한 수요와 판매 가능한 재고가 제한된 상황에서 부진할 것이나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면 주택담보대출금리가 의미있게 하락할 수 있다. 그러나 주택 시장의 공급과 수요가 정상화되면서 이자율이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는 상황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차입 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사람들은 계속 기다려야 할 것이다.

샤르가는 만약 주택담보대출금리가 크게 움직이지 않는다면 차입자들은 구매 대출을 더 적게 추구하고 이자율 기반의 대출 활동이 계속 감소하는 모습을 볼 것이다.”라고 지적한다. “더 많은 주택 소유자들이 머무르게 되면 연간 주택담보대출과 주택담보신용라인에서 약간의 증가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2023년에 이사가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리모델링이 대세일 수도 있다.” 그는 말했다.

 

부동산파트너 편집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트렌드 매거진 카테고리

트렌드 매거진 목록
     달라스-포트워스(D-FW) 지역이 인공지능(AI) 시대의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 산업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그러나 그 폭발적 성장의 이면에는 자연 자원, 전력, 토지 부족이라는 심각한 ‘규모의 문제(scale issue)’가 뒤따르고 있다. 데이터센터는 수십 년…
    부동산파트너 2025-11-07 
     중간 주택가격은 소폭 하락, 거래량은 소폭 증가 달라스-포트워스(DFW) 지역의 주택 매물 중 3분의 1 이상이 최근 몇 달 사이 가격을 인하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량은 조금씩 늘고 있지만, 여전히 시장에는 많은 매물이 쌓여 있다.한때 폭발적인 속도로 움직이던 북텍…
    부동산파트너 2025-11-07 
    최근 월스트리트 저널(WSJ)의 분기별 설문조사와 최신 경제 지표들은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견고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고용 시장의 뚜렷한 냉각이라는 심각한 역설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인공지능(AI) 투자 붐, 관세, 지정학적 위험, 그리고 연방…
    리빙트렌드 2025-11-07 
    신규 졸업자 실업률 9년 만에 최고치 … 한인 사회도 직격탄대학 졸업장이 더 이상 첫 직장의 문을 열어주지 못한다는 데이터가 속속 나오고 있다. 노동시장 둔화의 직격탄은 막 사회에 진출하려는 청년층에게 가장 크게 미치고 있으며, 일부 연구기관은 현 상황을 두고 “젊…
    리빙트렌드 2025-11-07 
     북텍사스 개발업체, 포트워스에 1,800채 신규 주택 단지 조성북텍사스의 대표 부동산 개발업체 센추리언 아메리칸 디벨롭먼트 그룹(Centurion American Development Group)이 포트워스 북서부의 대규모 주거단지 부지를 인수하고 약 1,800채의 …
    부동산파트너 2025-11-07 
     프레스턴 할로우 한복판에 6억5천만 달러 규모 초대형 복합단지 개발 추진달라스 대표 교차로 ‘프레스턴 로드-로열 레인’ 일대 재탄생 예고했다.달라스의 두 부동산 개발기업이 손잡고 6억5천만 달러(약 9천억 원) 규모의 초대형 복합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개발 부지는…
    부동산파트너 2025-11-07 
    세대마다 아이들은 자신들만의 언어를 만들어왔다. 예전에는 “톡 투 더 핸드(Talk to the hand)”라는 표현이 유행했는데, 상대방의 말을 무시하며 손바닥을 내미는 행위는 당시 또래들 사이에서 당당한 반항의 표시였다. 오늘날 아이들도 다르지 않다. 다만 표현방…
    리빙트렌드 2025-11-07 
     광활한 대지와 풍요로운 자연, 그리고 따뜻한 환대의 정신이 깃든 텍사스의 가을은 그 어느 곳보다 특별하다.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고 황금빛으로 물든 들판을 마주할 때면, 흩어져 있던 가족과 사랑하는 친구들을 집으로 초대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해진다. 2025년 추수감사절…
    부동산파트너 2025-11-07 
    가을의 정취는 낙엽에서 시작된다. 붉게 물든 단풍이 바람에 흩날리면 잠시 멈춰 서서 계절의 아름다움을 느낀다. 하지만 며칠만 지나면 그 낭만은 곧 ‘청소’라는 현실로 돌아온다. 특히 내 집 마당에 떨어진 낙엽이 이웃집 나무에서 날아온 것이라면 문제는 더욱 복잡해진다…
    리빙트렌드 2025-11-07 
    뜨거웠던 여름의 열기는 어느덧 자취를 감추고, 코 끝을 스치는 상쾌하고 건조한 바람이 기분 좋은 계절, 11월이다. 텍사스의 하늘은 더없이 높고 푸르르며, 거리의 나무들은 저마다의 색으로 화려한 마지막을 준비하고 있다. 추수감사절의 온기와 다가오는 연말의 설렘이 공…
    리빙트렌드 2025-11-07 
      DFW 지역에도 완연한 가을 날씨가 도래했다. 달라스 지역에서 외부활동을 하기 위한 최적의 날씨라고 할 수 있겠다. 이번호 11월호 새단지 컬럼 소개드릴 곳은 한국분들이 많이 알고 계시고 또한 이 지역에서 이미 settle이 된 단지이지만 아직 뉴홈 개발이 많이 남…
    부동산파트너 2025-11-07 
    미국과 텍사스 경제, 그리고 한인 사회가 준비해야 할 것들   연준, 0.25% 금리 인하…마침내 방향을 틀다 9월 17일, 연방준비제도(Fed)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렸다.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 있는 금리 인하였다. 그동안 연준은 인플레…
    리빙트렌드 2025-10-13 
     텍사스주  한인인구 급증, 전국 2위 도약 눈앞2024년 아메리칸커뮤니티서베이(ACS) 최신 자료 분석 결과, 텍사스 한인사회가 미국 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한인 집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연방 센서스국이 지난 9월 11일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24년 현…
    리빙트렌드 2025-10-13 
     아침 식사는 하루 중 가장 중요한 한 끼라는 말은 익숙하다. 특히 학교에서 하루 절반 가까이를 보내는 아이들에게는 두말할 필요가 없다. 존스홉킨스대 소아영양치료 전문가 제니퍼 톰슨은 “건강한 아침은 충분한 수면만큼이나 학업 성취와 체중 관리에 중요하다”며 “기억력…
    리빙트렌드 2025-10-13 
     자외선 차단부터 올바른 세제 선택까지... 원목의 수명을 지키는 법원목 마루는 마치 자연의 한 자락을 끌어들인 듯 집안 분위기를 따뜻하게 만들고 세련된 멋을 더해주는 인테리어 요소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자칫 관리에 소홀하면 햇빛에 의한 변색이나 잘못된 청소습관…
    리빙트렌드 2025-10-13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