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앤디의 머그잔 이야기’] 그레이트 스모키 마운틴 정상에 올라보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문화 댓글 0건 조회 26회 작성일 25-09-26 06:45

본문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



  가끔은 삶이 양 어깨를 짓눌러 주저 앉고 싶을 때 찾아가는 산이 있습니다. “이 산 저 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그렇게 살고 싶은 마음을 누르며 쉬지 않고 달려가는 대륙의 창가는 어느덧 이곳이 강원도 깊은 산속으로 접어들었다는 착각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그리고는 산 정상에 올라 확 트인 세상의 모습을 바라보며 응어리진 마음을 조각조각 내려놓습니다.


 이곳 산 정상에 서면 항상 생각나는 노래가 있습니다. “저 산은 내게 우지 마라 하고”로 시작하여 “저 산은 내게 내려가라 하네, 지친 내 어깨를 떠미네”로 끝나는 1980년대 중반의 한국의 상황과 너무 잘 어울려 국민의 사랑을 받았던 ‘한계령’이란 노래입니다. 그 당시 상황을 잘 묘사하듯, 가슴 시리도록 슬픈 멜로디 와 가사, 그리고 억압에 지친 무거운 민중의 어깨가 있습니다. 이처럼 슬픈 과거의 역사에 가장 잘 어울리는 미국 산이라고 하면 아마도 그레이트 스모키 마운틴(Great Smoky Mountains) 일 것입니다.


  스모키 마운틴의 작은 도시 게틀린버그(Gatlinburg)를 지나 하늘을 볼 수 없을 만큼 깊은 숲과 골짜기를 따라 가면 곳에 이 엄청난 산을 감상할 수 있는 확 트인 곳들이 곳곳에 있습니다. 이곳에 잠시 내려 가슴을 열면 앞을 보아도 뒤를 보아도 높은 산, 골짜기엔 흐르는 물소리 뿐 그 고요한 적막이 ‘그레이트 스모키 마운틴’ 을 만나면 누구나 시인이 되고 음악가가 되고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체로키 인디언들의 슬픈 역사인 ‘눈물의 길’(The Trail of Tears)은 미국 기병대에 쫓겨 피눈물 흘리며 스모키 마운틴을 떠나는 눈물과 죽음의 길이였습니다. 이처럼 그레이트 스모키 마운틴은 체로키 인디언들의 슬프고도 아픈 사연이 묻어 있는 산입니다. 우리가 80년대의 암울한 삶을 살아 가면서 ‘한계령’을 불렀듯이 그들은 추위와 굶주림의 연속으로 이어지는 강제이주의 시간 속에서 ‘어메이징 그레이스’를 불렀습니다. 이처럼 인디언의 노래 ‘어메이징 그레이스’ 속의 이미지가 투영된 곳이 스모키 마운틴인 것입니다. 


게틀린버그에서 441번 도로를 따라 스모키 마운틴 쪽으로 30분 정도 운전을 하면 441번 도로의 정상인 Newfound Gap을 만나게 됩니다. 여기는 테네시주와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경계가 되는 지점으로 스모키 마운틴을 지나는 길목 중에서 가장 높은 5048피트(1539m)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2,200 miles (3,500 km)길이의 아팔레치안 트레일(Appalachian Trail)이 통과하는 지역으로 스모키 마운틴의 정상인 클링맨스 돔(Clingmans Dome)으로 가는 입구가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Newfound Gap에서 Clingmans Dome Road를 만나면 여기에서 20분 정도 운전을 하면 스모키 마운틴 정상까지 올라갈 수 있는데, 겨울에는 이 도로가 폐쇄되기 때문에 이곳을 오르려면 11월 이전에 오르는 것이 좋으며 미리 스모키 마운틴 국립공원 홈페이지에서 확인을 해보는 것이 좋을 듯싶습니다. 정상에 자동차를 파킹하고 30분정도 걸어 오르면 산의 정산인 Clingmans Dome에 이르게 됩니다. 이곳은 6,643피트 (2,025 m)로 스모키 마운틴에서 가장 높은 곳으로 연중 맑은 날을 찾기가 그리 쉽지 않은 곳입니다.


  스모키 마운틴의 장점이라면 가능하면 자연을 파괴하진 않은 상태에서 최소한의 설비를 하였다는 것입니다. 어렵게 오른 정상에 서면 저 멀리 노스캐롤라이나에 위치한 폰타나 호수(Fontana Lake)를 비롯하여 체로키 인디언 마을, 게틀린버그 등이 한 눈에 들어옵니다. 산 아래 내려앉은 운무와의 조화는 죽은 이들을 땅에 묻으며 체로키 인디언들이 불렀던 영감의 노래가 묻어 있습니다. ‘어메이징 그레이스’ 작사는 존 뉴턴 목사가 하였지만 원래는 이곳의 인디언 들이 불렀던 노래, 오늘날 체로키 인디언들이 이곳에서 어메이징 그레이스를 부르면서 그들의 고단한 삶을 이곳 스모키 마운틴에 내려놓은 슬픔의 역사인 것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문가칼럼 목록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  가끔은 삶이 양 어깨를 짓눌러 주저 앉고 싶을 때 찾아가는 산이 있습니다. “이 산 저 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그렇게 살고 싶은 마음을 누르며 쉬지 않고 달려가는 대륙의 창가는 어느덧 이곳이 강원도 깊은 …
    문화 2025-09-26 
     박인애 (시인, 수필가)  호숫가를 거닐다 돌아오는 데, 잔디밭과 보도블록 틈새에 종이가 꽂혀 있었다. 반으로 접힌 모양새가 지폐처럼 보였다. 가까이 다가가자 바람에 뒤척이던 종이가 속을 열어 보였다. 온기가 사라진 파워볼 복권이었다. 당첨되었다면 귀한 대접을 받았을…
    문화 2025-09-26 
    공학박사 박우람 서울대 기계공학 학사, 석사미국 Johns Hopkins 대학 기계공학 박사UT Dallas 기계공학과 교수재미한인과학기술다 협회 북텍사스 지부장지난 7월, 미국 코카콜라에 앞으로는 액상과당 대신 설탕이 들어간다는 기사가 나왔다. 놀랍게도 트럼프 대통령…
    문화 2025-09-26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세상의 푸르름이 스모키 마운틴 한곳에만 내려 앉은 것 같습니다. 흐르는 시냇물에 끝없이 흘러 보내도 짙푸른 스모키 마운틴의 색깔을 희석시킬 수는 없습니다. 잠시 이마에 흐르는 땀방울에 반사된 한 여름의 석양의 빛이 잠시나마 계절의…
    문화 2025-09-19 
    ​ 고대진 작가◈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순대…
    문화 2025-09-19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그레이트 스모키 마운틴(Great Smoky Mountains)은 미국에서 가장 늦게 1934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됐지만 좋은 기후 조건과 사시사철 변하는 아름다운 자연을 만끽할 수 있은 곳이어서 미국에서 가장 많은 관광객이 찾는…
    문화 2025-09-11 
     박혜자 미주작가 / 칼럼리스트                                       해마다 여름의 끝자락인 8월 말, 엘에이에서 열리는 미주 문학캠프는 미주 문인들의 가장 큰 축제이다. 캘리포니아는 물론, 알라스카, 하와이, 텍사스 등 미 전지역에서 문…
    문화 2025-09-11 
    크리스틴 손, 의료인 양성 직업학교, DMS Care Training Center 원장(www.dmscaretraining.com / 469-605-6035) 미국 의료 현장은 환자의 치료와 돌봄뿐 아니라, 그 뒤를 받쳐주는 행정과 기록 관리가 원활히 이루어져야 제대로…
    문화 2025-09-11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 분주했던 2025년의 분기점을 지나 모두에게 소중한 사람들에 대한 사랑이 넘치며 감동을 가져다 줄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탐스런 비가 내립니다. 길고도 길었던 한해의 절반이 벌써 지나간다고 하니 뭔가 아쉬우면서도 한편으로 새로운…
    문화 2025-09-04 
      백경혜 수필가  한국에 나와있다.   서울이 이렇게 더웠던가. 조그만 양산 그늘을 믿고 주민센터와 은행 일들을 보러 동네를 돌아다닌 날, 집에 와 거울을 보니 벌겋게 달아오른 얼굴에 목덜미까지 땀이 줄줄 흐르고 있었다. 찜질방 불한증막에서 나온 듯한 몰골이었다. 마…
    문화 2025-09-04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 테네시주(Tennessee)에서 우리가 쉽게 만날 수 있는 것은 텍사스의 광활한 대지도 아니고 콜로라도의 장엄한 산새도 아니며 뉴욕처럼 인류가 만날 수 있는 화려한 인공미도 아닙니다. 단지 수수하게 그 모습을 남에게 보일 듯 말…
    문화 2025-08-28 
     김미희 시인 / 수필가 축구장을 찾은 것은 참으로 오랜만이었다. 박찬호와 추신수 덕분에 야구장은 여러 차례 가보았지만, 축구장은 쉽사리 인연이 닿지 않았다. 더구나 한여름의 땡볕 아래 달라스의 경기장을 찾은 것은 내게는 특별한 경험이었다.  경기는 저녁 7시 30분에…
    문화 2025-08-28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 테네시주(Tennessee)의 아침은 상쾌합니다. 때묻지 않은 싱싱한 환경도 그러하지만 어딘지 모르게 한국의 산천을 닮은 모습들이 스쳐가는 여행자의 시선을 확 끌어 잡습니다. 어딜 가더라도 웅장하진 않지만 자연스런 곡선의 굽이 …
    문화 2025-08-22 
    공학박사 박우람 서울대 기계공학 학사, 석사미국 Johns Hopkins 대학 기계공학 박사UT Dallas 기계공학과 교수재미한인과학기술다 협회 북텍사스 지부장2020년 갑작스레 닥친 코로나 사태로 수 개월간 사무실에 가지 못하고 재택근무를 하던 어느 날이었다. 강의…
    문화 2025-08-22 
     박인애 (시인, 수필가) 오랜만에 전축을 열고 비틀즈 판을 올렸다. 야전이라고 불리던 야외용 미니 전축인데, 바늘이 LP판을 긁으며 흘러나오는 소리가 정겹다. 요즘 음원의 깔끔한 소리와는 비교할 수 없는 매력이 있다. 약간의 잡음, 떨림, 그리고 의도치 않은 미세한 …
    문화 2025-08-22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