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률

정부 혜택 수혜 관련해 시행될 최종 규정 발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법률 댓글 0건 조회 6,103회 작성일 19-08-30 09:57

본문

2019년 8월 14일 미 국토안보부는 정부 혜택 수혜자의 이민 신분 취득 결격 판정의 새 기준이 될 새로운 최종 시행 규정을 발표하고, 이 날로부터 60일의 유예기간을 거쳐 이 날 발표된 내용을 관련 부분 새로운 법 규정으로 시행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우선 정부 수혜에 관한 새로운 규정의 적용 대상은 미국에 입국을 신청하는 자, 미국내 영주권 신청자, 미국내 비 이민 신분 연장 및 신분 변경 신청자들로 하고 있다. 따라서 시민권자들과 몇 가지 예외로 규정된 신분 신청자들이나 이민 신청시 미군 또는 상비군에 복무 중인 자와 그 가족들에게는 정부 혜택 수혜로 인한 이민 신분 취득 결격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는 메디케이드 혜택 수혜에는 응급 치료를 받은 경우, 장애 교육 관련 법 관련한 혜택을 받은 경우, 주법이나 지역법에 따라 중등 교육 연령자에게 주어졌거나 학교를 통해 받은 서비스, 21세 미만의 외국인이 받은 혜택, 임신으로 인해 받은 혜택 또는 임신 기간 종료로부터 60일 이내에 산모가 받은 혜택들을 언급하고 있다.

새로운 규정의 시행 시기
새로운 규정은 2019년 10월 15일부터 발효하고 시행된다. 따라서 이 날짜 이전에 신청된 정부 혜택에 대해서는 1999년에 발표되어 시행되던 이전 규정이 적용되게 된다. 더 나아가 최종 규정에 새로이 포함된 정부 혜택, 즉 1999년부터 시행되어 온 이전 규정에 저촉을 받지 않았던 정부 혜택 (예를 들어 SNAP과 MEDICAID)의 경우 2019년 10월 15일 이후 수혜한 경우에만 적용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한편, 이전 규정상 수혜가 문제되었던 정부 혜택 (SSI, TANF, 장기 입원 치료)의 수혜 기록에 대해서는 신규 규정 시행 이후에도 신청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새로운 규정으로 인해 달라지는 사항
새로운 규정으로 인해 달라지는 사항은 이민국이 이민 신청자가 향후 정부 혜택 수혜자가 될 가능성이 있는 지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제한적인 경우에 한하여 이민국은 정부 혜택 수혜로 인해 결격이 된 이민 신청자에게 보증금을 위탁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최소금액으로 $8,100을 제시하고 있으며 신청자의 제반 여건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더 나아가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보증금 위탁 요건을 면제 받을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비이민자로서 신분 연장이나 변경을 신청 중인 경우에도 새로운 규정에 저촉되는 정부 혜택을 36개월의 기간 동안 12개월 이상 수혜한 경우에는 문제가 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정부 혜택 수혜 관련 규정에 적용을 받는 대상
미국에 입국을 위해 이민 또는 비이민 비자를 신청하는 자, 미국에 입국을 신청하는 자, 미국 내에서 영주권 신분 변경을 신청하는 자가 적용의 대상인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영주권자라 하더라고 해외로 출국 후 재입국을 시도하는 경우 일정한 경우에는 입국을 신청하는 자로 간주되어 저촉이 되는 정부 혜택 수혜 기록이 있는 경우 입국 자격 결격이 될 수 있다.
새로운 규정상 수혜하면 문제가 되는 정부 혜택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연방, 주, 지역 또는 tribal이 부여하는 현금 보조
·Supplemental Security Income (SSI) ·Supplemental Nutrition Assistance Program (SNAP, or Food Stamps)
·Section 8 Project-Based Rental Assistance (Including Moderate Rehabilitation) ·Federally funded Medicaid (일정한 예외가 있음)
새로운 규정은 이민 신청 시점에 미군 또는 미 상비군에 복무중인 자들과 그 동반 가족들이 수혜한 정부 혜택을 고려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고 미 이민법상 자동 시민권 취득자로 규정된 자녀들이 (입양된 자녀를 포함) 수혜한 정부 혜택 또한 고려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정부 혜택들도 새로운 규정상 고려 대상에서 제외된다.
·응급 치료로 받은 메디케이스 혜택 ·중등 교육 연령자 개인 또는 학교를 통해 주어진 혜택 ·21세 미만의 외국인이 수혜한 메디케이드 혜택 ·임신 중 수혜한 메디케이스 혜택 및 임신 종료 후 60일 기간내에 산모가 수혜한 혜택

문제가 되는 정부 혜택 수혜 금액 및 기간
새로운 규정에 따르면 36개월 기간동안 총 12개월 동안 해당되는 정부 혜택을 수혜한 경우에는 결격 판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총 12개월 산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같은 달에 두 가지의 정부 혜택을 수혜한 경우 2달을 수혜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정부 혜택 의존 가능성의 판단은 신청자의 제반 여건에 관한 고려이므로 여하한 기간이나 금액이라도 그 고려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혜택 수혜자가 누구인지의 여부 새로운 규정은 신청자 본인이 직접적으로 수혜한 정부 혜택만을 고려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인이 아닌 다른 직접 수혜자를 위한 정부 혜택이었던 경우 이를 고려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직접 수혜자가 현금 보조를 통해 받은 수입은 그 가족 전체의 수입 산정에서 제외된다.

적용 대상이 되는 혜택
비현금성 혜택의 경우에는 새로운 규정에 언급된 것이 한하여 적용 대상으로 삼고 있다. 새로운 규정은 응급 메디케이드, 재난 구조 관련 혜택, 연방 학교 급식 프로그램, 위탁 및 입양 관련, 학자금 및 주택 융자, 에너지 보조, 노숙자 케어, Food Pantry, Head Start 과 같은 혜택들을 특별히 열거하고 있지 않다.

정부 혜택 의존자 판정이 내려지는 기준
향후 어떤 시점에든 정부 혜택 의존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판정은 신청자가 36개월 기간 동안 총 12개월의 정부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표된 최종 규정에 따르면 정부 혜택 의존 가능성으로 입국 자격 결격 판정을 내리는 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도록 하고 있다.
·연령 · 건강 상태 · 가족 관계 · 재산, 자산 또는 재정 상태 · 교육 및 기술 보유 여부 · 신청하고자 하는 이민 신분 · 체류를 희망하는 기간 · 충분한 재정 보증 유무

신청자에게 유리한 상황
·연방 Poverty Guideline상 제시된 가구당 최소 수입 금액의 최소 250프로에 해당하는 수입, 재산, 자산 또는 재정 보증이 있는 경우 (불법 행위로 인한 수입 또는 정부 혜택으로 인한 수입 제외) ·취업 허가를 받은 자로 현재 취업 중이며 그 수입이 연방 Poverty Guideline상 제시된 가구당 최소 수입 금액의 250프로에 해당하는 경우 ·신청자가 체류하고 자 하는 기간에 상응하는 기간의 사보험에 가입되어 있고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상 프리미엄 세금 크레딧을 받지 않는 경우

신청자에게 불리한 상황
·신청자가 풀타임 학생이 아니고 취업 허가증도 보유하였으나 현재 취업 중이지 않고 최근 취업 기록도 없으며 향후 취업 가능성도 없는 경우 ·2019년 10월 15일 이후 입국 신청 또는 영주권 신청을 기준으로 36개월의 기간에 총 12개월 동안 정부 혜택을 수혜하였거나 수혜할 수 있도록 승인을 받은 경우 ·질병으로 인해 상당한 진료나 입원을 요하는 신청자로 향후 진학 또는 취업을 통해 스스로를 부양할 능력이 없고 현재 보험이 없고 향후 사보험 가입의 능력도 없어 필요한 의료 혜택의 비용을 지불할 재정 능력이 없는 경우 ·이전에 정부 혜택 수혜 기록으로 인해 이민 판사 또는 항소 법원을 통해 추방 또는 입국 거절 처분을 받은 자

로렌 권 변호사
lauren@kwonlawoffice.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문가칼럼 목록
    2025 회계연도 H-1B 비자 추첨 등록이 3월 6일에 시작되었다. 미국 정부는 매년 85,000개의 새로운 H-1B 비자를 부여하는데, 이 중 65,000개가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에게 부여되고,  20,000개가 미국 대학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에게 부여된다. 외국인…
    법률 2024-03-15 
    바이든 행정부는 취임 후 미국내 1,100만명이 넘는 불체자들이 미국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는 길을 여는 등 대대적 이민 개혁을 제안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첫 날 미의회에 제출한 이민 개혁안은 지난 수년간 또는 수 십년간 미국에서 취업해 커뮤니티를 위해 살아…
    법률 2021-01-29 
    E-2 신청을 위한 서류를 준비함에 앞서 우선 어떠한 자본으로 어떻게 투자가 이루어져야 순조롭게 E-2 신분을 취득할 수 있을 것인지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E-2 신청에 있어서 투자라 함은 투자자가 그의 자본 및 기타 자산을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에 투…
    법률 2019-10-25 
    변호사 김기철 뉴욕지구에 있는 연방정부 법정에서는 지난 11일(금) 10월 15일부터 시행하기로 한 공공혜택에 대한 새로운 시행령(Public charge final rule)을 이민국이 집행하지 못하도록 했다. 또한 새 시행령에 맞게 수정된 모든 이민국 양식들을 당…
    법률 2019-10-25 
    취업 영주권 신청에는 5 가지 종류가 있는데 이 모든 순위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이 고용주 청원서이다. 보통의 취업 제 2, 3 순위에서와 같이 고용주 청원서 제출전에 노동 인준이 필요한 케이스의 경우 인준된 노동 인준이 180 을 경과해 그 효력을 상실하기 전…
    법률 2019-09-27 
    2019년 8월 14일 미 국토안보부는 정부 혜택 수혜자의 이민 신분 취득 결격 판정의 새 기준이 될 새로운 최종 시행 규정을 발표하고, 이 날로부터 60일의 유예기간을 거쳐 이 날 발표된 내용을 관련 부분 새로운 법 규정으로 시행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우선 정부 …
    법률 2019-08-30 
    갑작스런 이민단속 검거, 알고 대처하자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달 14일을 기점으로 불법 체류자 백만여명을 검거해서 추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백만여명을 검거 및 추방하기란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다. 이민 변호사 20여년을 해온 필자로서도 이렇게 대통령이 직접 불법 체류자…
    법률 2019-08-23 
    이민국은 2019 년 7 월 24 일 EB-5 투자자 프로그램 관련 중요한 변화를 담은 새 규정을 발표할 예정이다. 발표될 새로운 규정은 2019 년 11 월 21 일부터 발효된다. 발표될 새로운 규정상 핵심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최소 투자 금액 인상 • 경제 개발…
    법률 2019-07-26 
    신청자의 여건에 관한 전체적인 고려 정부 혜택 관련한 새로 제시된 이민법 규정상으로도 이민 신청자의 연령, 건강, 가족 관계, 자산, 재정 상태, 교육 수준 등을 고려하도록 되어 있다. 때문에 이민 신청자들은 이 부분 증명을 위해 취업, 교육 수준, 소득 수준, 건강 …
    법률 2019-07-12 
    정부 혜택 수혜 관련 최근 제시된 이민 규정 변화(1) 최근 미 행정부의 이민 정책 변화로 인해 이민 신분 신청자들에게는 정부 혜택 수혜 관련 문제가 더욱 예민하게 대두되고 있다. 정부 혜택 수혜 여부는 미국 입국 신청자, 영주권 신청자 그리고 영주권자이지만, 미국을 …
    법률 2019-07-05 
    [이민칼럼] 뉴질랜드 국적자들도 E-1, E-2 신청 가능 미국에 합법 신분으로 체류하고 있는 뉴질랜드 국적자들도 2019년 6월 10일부터E-1, E-2 신분 변경 신청이 가능해 졌다. E-1, E-2 신분은 미국과 통상 조약을 체결한 국가의 시민권자들이 신청 가능한…
    법률 2019-06-21 
    [ 법률 ] 김기철 변호사 통과여부 떠나 모든 신청자 SNS계정 공개필수 “American Dream and Promise Act” (꿈과 약속의 법안) 통과 될 것인가? 이번 6월에 미국 하원에서 “American Dream and Promise Act (H.R.…
    법률 2019-06-14 
      [ 법률 ] 김기철 변호사   트럼프 행정부 출범이후 이민 세관 단속국(ICE)의 대대적인 기습 단속이 많이 늘어났다. 달라스에 근접한 도시에서도 몇 달안에 대대적인 기습 단속이 있었다. 한인 CEO가 운영하는 회사이며 핸드폰 조립 및 리페어를 하는 회사에도 단속…
    법률 2019-05-31 
    (지난 회에 이어서) 만약 미국에 거주하는 동안 한국에 있는 재산에 대하여 미국에서 유언을 하고 유언장(Will)을 작성하였다면, 그 유언장은 한국에 있는 재산에 대하여 효력이 있을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지난 여러 회에 걸쳐 설명한 바와 같이 유언…
    법률 2019-05-08 
    (지난 회에 이어서) 지난 회에 설명한 유류분 제도와 관련하여, 유류분반환청구권자는 유류분권리자이고, 반환의무자는 증여 및/또는 유증을 받은 자 또는 그의 포괄승계인인데 공동상속인도 증여나 유증을 받은 경우에 역시 상대방이 될 수 있습니다. 유류분반환청구권은 반드시…
    법률 2019-05-08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