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산망 복구 때까지 수기·전화·팩스로…'70년대 민원 행정으로 회귀'
페이지 정보
본문
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정부를 자랑하던 한국 민원 현장이 당분간은 1970, 80년대 방식으로 되돌아갈 전망입니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 96개 행정 시스템이 전소됐고, 정부가 복구에 최소 한 달이 걸린다고 공식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피해를 입은 96개 시스템에는 국가보훈부의 ‘통합보훈’, 국민권익위원회의 ‘국민신문고’, 보건복지부의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털린내정보찾기’, 노동부의 ‘조정심판’ 시스템 등이 포함됩니다.
복권위원회 홈페이지 역시 복구에 한 달이 걸리지만, 복권 발행과 추첨은 별도 시스템으로 운영돼 큰 지장은 없을 전망입니다. 특히 재난안전 플랫폼 ‘안전디딤돌’, 사회복지시설정보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도 한동안 직접 방문이나 우편, 전화 방식으로 처리될 예정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로 주민등록 등·초본, 부동산 증명서 발급 등 민원 수요가 주민센터로 몰리면서 ‘민원 대란’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습니다.
화재는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 본원 5층 전산실에서 발생했으며, 리튬이온 배터리 발화가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서버가 집중된 5층의 96개 시스템이 전소되면서 복구에 더 긴 시간이 필요하게 됐습니다.
행안부는 처음 피해 규모를 70여 개로 발표했다가, 전산 기록을 일일이 대조한 끝에 96개로 정정했습니다. 정부는 해당 시스템들을 대구센터로 이전해 복구를 진행할 계획이며, 입주 기업들의 협조를 통해 최대한 일정을 단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화재로 다시 떠오른 수기 행정. 정부는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국민 불편은 당분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Copyright ⓒ 달라스 코리안 라디오 www.dalkor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