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매거진

[Texas House Market] 달라스 지역 주택 재고난 심화, 1월 주택 공급량 53.5% 하락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부동산파트너 댓글 0건 작성일 22-04-01 12:48

본문

달라스 지역 주택 재고난 심화, 1월 주택 공급량 53.5% 하락

 

주택 시장 재고가 일 년 전보다 절반 이상 감소한 가운데 달라스 지역의 주택 재고난이 보다 더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중개 업체 Compass의 새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월 이 지역 주택 공급량이 53.3% 하락했으며 이는 2.3% 떨어진 전미 평균 공급량보다 3배가 넘는 수준이다. 

이처럼 극심한 공급난에 매도자 주도 주택 시장이 악화됐고 그로 인해 주택 거래 제의 건이 치솟는 결과가 초래됐다고 Compass의 스트라이블링-키블란 주택 전문가가 지적했다. 

Compass의 보고서는 북텍사스 부동산 정보시스템(NTRSIS)의 달라스 카운티(Dallas County) 단독 주택에 관한 Multiple Listing Service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이에 따르면 올해 1월 말 달라스 카운티 주택 시장의 공급량은 1649채로 이는 지난해 동월의 3533채보다 약 2배 더 적은 수준이다. 또한 올해 1월 달라스 지역의 중간 가격 주택의 매매 가격은 작년 1월보다 16.2% 올라 평균 35만여 달러에 거래되는 전미 매매 가격에 조금 더 근접한 수준인 31만 5000달러에 달했다. 아울러 올해 1월 매매된 주택 수는 작년 동월의 1707채보다 8.6% 감소한 1561채였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달라스 지역의 경우 매도자들이 원하는 가격에 집을 팔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올해 1월 거래가 성사된 주택들의 경우 시장 매매가의 100.1% 가격에 팔린 것으로 나타났으며, 1월 달라스의 주택 거래 평균 기간은 작년 동월 42일에서 27일로 줄어들었다. 

달라스 기반 Ebby Halliday Cos.의 크리스 켈리 회장은 “거래 기간 축소 현상에 대해 작년과 비슷한 상황”이라면서 “주택 시장은 실제로 작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고 텍사스로 유입된 이주자가 늘면서 수요가 급등한 반면 공급은 그에 미치지 못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모기지 이자율 상승이 시장의 일부 투기 수요를 자극하게 되면 공급난으로 인한 일부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셀라이나에 대형 임대형 단독주택 개발    ‘첫 삽’ 

 

DFW를 포함해 미 전역에서 아파트를 건설 중인 밀 크릭 레지덴셜(Mill Creek Residential)이 셀라이나(Celina) 지역에서 임대형 단독 주택 개발사업을 시작했다.  최근 첫 삽을 뜬 밀 크릭 레지덴셜의 아마비 셀라이나(Amavi Celina) 개발사업은 밀 크릭 레지덴셜이 텍사스에서 진행하는 첫 임대형 단독 주택 개발사업으로 전해졌다. 

아마비 셀리나 개발사업 계획에는 271 세대의 카티지와 타운홈 및 전통 스타일 주택이 포함돼 있다. 총 45에이커 면적의 해당 개발사업은 프레스톤 로드 동쪽 약 1마일 거리에 있는 코이트 로드(Coit Road)와 초아테 파크웨이(Choate Parkway)의 동남쪽 외곽에서 시작했다. 

셀라이나는 DFW 지역 최고의 단독 주택 건설 시장들 중 한 곳으로 밀 크릭과 같은 아파트 개발업체들이 새 개발사업을 위해 진출하고 있는 신예 주택시장이다. 

한편 DFW 지역은 미 전역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임대 주택 시장 중 한 곳으로 현재 수십 개의 임대형 단독 주택 커뮤니티가 개발되고 있다. 

Dallas Residential Strategies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DFW 개발업체들이 3885세대의 임대 주택 개발을 시작했으며 이는 전체 단독주택 건설의 약 7%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밀 크릭의 찰스 브린델 총괄 회장은 “올해 1500세대 내지 1600세대의 임대형 단독 주택 건설을 시작할 예정”이라며 “2020년 말 해당 개발사업 진출을 전략적으로 결정했고 개발을 새 단독 사업 부서가 전담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DFW 아파트 임대료 상승세, “멈춤 신호가 없다” 

 

올해에도 DFW 지역의 아파트 임대료 고공행진이 지속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다. 

부동산분석업체 Rent.com의 연구진이 “DFW 지역의 아파트 임대료가 미 전역의 일부 대도시들처럼 급등하고 있다”며 “아파트 임대료 상승세가 올해도 계속될 것”이라는 새 데이터를 최근 공개했다. 

Rent.com의 브라이언 카베리 전문가는 “임대료 상승세 지속 문제는 불일치하고 있는 주택 공급 및 수요 문제에서 비롯됐다”면서 “아파트 유닛 점유율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상승해 빈 아파트 찾기가 쉽지 않다”라고 전했다.

DFW 지역 내 원베드 아파트의 임대료는 월 평균 1천 7백달러 수준으로 알려졌다,

Rent.com 데이터에 따르면 이는 일 년 전보다 21% 오른 것으로 미 전역의 임대료 급등세와 비슷한 수준이다. 또 투베드 아파트의 임대료의 경우 월평균 2400달러로 이는 일 년 전보다 무려 31% 급등한 오름세를 보였다. 

이 같은 임대료 급등세는 북텍사스 지역 내 모든 지역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카베리 전문가는 “알링턴과 포트워스 등 일부 도시들의 임대료 상승 수준도 달라스 북부 지역 도시들 수준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북텍사스 지역 내 임대 아파트 공급 및 수요 급증 및 렌트비 급등 현상은 “지난해 주택을 구매하려 했던 많은 사람들이 부동산 거래 시장의 과도한 열풍으로 인해 주택을 장만하지 못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본격적인 이사철에 임대 아파트 공급량이 충분해질 경우 오는 여름쯤 고공행진 중인 아파트 임대료 상승세가 둔화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작년 DFW 지역 주택 거래 건수 및 가격 사상 최고 기록

총 11만 2000여건으로 텍사스 전체 거래 건수의 4분의 1

 

지난 해 DFW 지역에서 거래된 주택건수가 텍사스 전역에서 역대급으로 많았으며 중간 가격대 주택 가격은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보고됐다. 

Texas Realtors의 새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텍사스 전체 주택 거래 건은 총 41만 6000여건으로 2020년보다 6.2% 증가했다. 

이 가운데 DFW 지역의 작년 주택 거래 건수는 11만 2000여건으로 이는 지난 한 해 주 전역의 전체 거래 건수의 4분의 1이 넘는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2020년부터 2021년까지 DFW 지역의 주택 거래 추이는 0.2%라는 미미한 감소세가 있었어도 비교적 변동이 없는 것으로 진단됐다. 

어스틴 지역 주택 거래 건수는 4만 1000여건으로 2.7% 상승했고 11만 1000여건이 증가한 휴스턴과 4만 2000여건이 오른 샌안토니오의 주택 거래율도 각각 12%와 4.7%씩 상승했다. 

Texas Realtors의 러셀 베리 회장은 새 보고서를 통해 “주택 수요가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구매 문의가 수십 건씩 몰리는 주택과 호가를 상회하는 가격에 매매된 집들을 포함해 구매 문의가 몰리는 집들이 현재 많다”면서 “이러한 상황이 일부 주택 구매자들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DFW 지역의 중간 거래 가격은 지난해 보다 18.6% 상승해 34만 5000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텍사스 전역에서는 중간 거래 가격이 15.7% 상승해 30만달러에 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주택 거래 기간도 평균 25일에서 20일대로 줄었다. 텍사스 A&M 대학(TAMU) 부동산 리서치센터(TRERC)의 루이스 토레스 전문가는 해당 보고서에서 “올해 모기지 이자율이 상승하면서 주택 수요가 감소하고 주택 가격 상승 압박도 약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주택 시장은 적은 주택 공급량으로 인해 계속 강세를 유지할 것이고 특히 낮은 가격대 주택 거래에서 두드러질 것”이라며 “건설 업체들이 높은 주택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노력한다 해도 부지 비용과 자재비 그리고 인건비가 치솟는 상황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현정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트렌드 매거진 카테고리

트렌드 매거진 목록
    집값 상승과 높은 모기지 금리로 인해 지난 몇 년간 주택 시장은 상당히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많은 예비 주택 구매자들이 기회를 기다리며 시장 진입을 망설여 왔다.이제 전통적인 주택 구매 시즌 중반에 접어들면서 시장 상황은 다소 완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주택 구입 여력…
    부동산파트너 2025-06-06 
    텍사스 주택 시장 공급 폭증 … 매도자에겐 악재, 매수자에겐 기회텍사스 전역에서 매물 급증세가 이어지고 있다. 휴스턴 부동산중개협회(HAR)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갤버스턴 지역 신규 매물은 828건으로, 직전 분기 500여 건에서 크게 늘었다. 휴스턴 광역권의 전…
    부동산파트너 2025-06-06 
    “이륙 준비 완료” - 맥키니 시, 7,200만 달러 규모 공항 확장안 최종 승인텍사스 맥키니(McKinney) 시가 약 7,200만 달러 규모의 공항 확장 프로젝트를 최종 승인했다. 시의회는 5월 7일 상업 여객 서비스를 위한 신규 여객 터미널 건설을 포함한 예산안과…
    부동산파트너 2025-06-06 
    2024년 겨울, 로스앤젤레스 외곽의 고급 주택지 팰리세이즈에 살던 부동산 중개인 클레어 오코너는 충격적인 전화를 받았다. 보험사로부터 자택 화재보험이 해지됐다는 통보였다. 그녀는 당시 남편에게 이렇게 말했다. “설마 우리 집이 불타겠어? 그 전에 수십 채가 더 타야 …
    부동산파트너 2025-06-06 
    커피 테이블 위에 아무것도 두지 않는 것은 멋진 인테리어를 시도할 절호의 기회를 놓치는 것과 같다. 사실 커피 테이블은 거실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공간에 적절한 커피 테이블 장식 아이디어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어떤 물건들을 올려야 할까? 또 얼마나 많이 것들을…
    부동산파트너 2025-06-06 
    올해 들어 주택 매매의 거래량과 속도가 늦어지고 있는 현상을 보이며, 빌더의 지속적인 뉴홈 공급이 과잉되면서 마켓이 바이어쪽으로 기우는듯 보인다. 진지한 바이어라면 이 때를 활용하여 내 재정상태를 정비하고 매물들의 정확한 정보 및 인센티를 알아보아 누구보다 발빠르게 움…
    부동산파트너 2025-06-06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가 본격화되면서 텍사스 지역 소매업체들이 소비자 가격 인상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 소매·도매업체의 약 4분의 3이 관세가 올해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 중 75% 이상이 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
    리빙트렌드 2025-06-06 
    텍사스에서 수천만 달러 투자 사기 피해 … 피해자들 “믿을 수 없다” ‘We Buy Ugly Houses’라는 광고 문구로 유명한 부동산 투자 프랜차이즈 Hom-eVestors의 한 고위 운영자가 텍사스 전역에서 수년간 폰지 사기를 벌이며, 수천만 달러 규모의 피해를 …
    리빙트렌드 2025-06-06 
    기억력은 아이들의 학습과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전자기기 사용이 증가하면서 기억력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 과학자들은 전자기기의 과도한 사용이 집중력 저하와 스트레스를 초래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모와 …
    리빙트렌드 2025-06-06 
    시중에서 판매되는 섬유 유연제는 정전기 방지와 의류 연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하지만 즐겨 사용하던 제품이 떨어졌거나 직접 대체제를 만들어보고 싶다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백식초와 같은 흔한 가정용품부터 울 드라이어볼 등 간단한 도구…
    리빙트렌드 2025-06-06 
    달라스에는 400개에 가까운 공원이 있으며, 이 중 다수는 놀이터, 운동장, 피크닉 공간 등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그중에서도 무료로 즐길 수 있으면서, 아이들에게는 즐거운 놀이터를, 부모에게는 휴식과 운동 공간을 제공하는 최고의 놀이터를…
    리빙트렌드 2025-06-06 
     “지금 집을 사야 할까, 아니면 가을까지 기다리는 게 나을까?”최근 텍사스에서는 이런 고민을 안고 있는 예비 주택 바이어들이 늘고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오랜 기간 셀러 중심의 시장이었던 텍사스 주택 시장이 점차 바이어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파트너 2025-05-13 
    DFW 주택 착공 10% 감소, 트럼프 관세에 건설업계 ‘이중고’ 올해 초 북텍사스 주택 시장이 눈에 띄게 둔화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지역 건설업계에 추가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부동산 리서치 업체 레지덴셜 스트래티지스…
    부동산파트너 2025-05-13 
    알렌시, US 75 인근 7에이커 부지 매입, 다운타운 재개발 본격화 알렌시가 다운타운 재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US 하이웨이 75 인근 7에이커 규모의 부지를 약 780만 달러에 매입한다.시 관계자들에 따르면, 알렌 시의회는 3월 말 550만 달러의 다운타운 개선 …
    부동산파트너 2025-05-13 
    ‘아메리칸 드림’의 첫 단계인 주택 소유의 꿈이 점점 현실에서 멀어지고 있다. 특히 주택 가격이 비싼 주들에서는 집을 마련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부동산 정보업체 Realtor.com의 이코노미스트들이 실시한 주별 주택 구입 가능성 분석은 평…
    부동산파트너 2025-05-13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