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매거진

[]ISSUE] 무엇을 먹고, 언제 어떻게 먹을까? 장수의 비결, “이때 먹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리빙트렌드 댓글 0건 작성일 22-08-01 16:03

본문

오래 살기 위해서는 언제 먹는 것이 좋을까?

 

UT 사우스웨스턴 메디컬 센터(UT Southwestern Medical Center)가 최근에 공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무엇을 먹는가’ 뿐만 아니라 ‘언제 어떻게 먹는지’가 우리의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먹는 칼로리를 줄이는 것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는 생각은 오랫동안 있어왔다. 그러나 UT 사우스웨스턴의 두 신경과학 교수, 조셉 타카하시(Joseph Takahashi)와 칼라 그린(Carla Green)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쥐의 경우 칼로리 섭취 제한이 가져오는 수명 연장의 효과가 가장 컸을 때는 ‘생체 시계(circadian clock)에 맞춰 사료를 먹었을 때’라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 

생체 시계는 식사, 수면, 활동 등 서로 다른 상태에 우리 몸의 세포가 최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내부의 시간 측정 장치를 말한다. 

이 연구 결과는 올해 5월 사이언스(Science)지에 게재되었다. 그린 교수는 “섭식을 생체 리듬(circadian rhythm)에 맞추는 것이 전체 건강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분명히 알려주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쥐를 실험 대상으로 했지만 후속 연구에서는 사람의 식습관이 어떻게 수명과 연관이 있는지를 밝혀낼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타카하시와 그린 교수는 생체 리듬과 관련한 연구를 수 년간 해왔는데, UT 사우스웨스턴 신경과학부(department of neuroscience)의 수장이자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소속 연구원이기도 한 타카하시 교수는 1997년 자신의 연구팀과 함께 포유동물에서 생체 시계를 조절한다고 알려진 최초 유전자를 발견한 바 있다. 

그린 교수는 UT 사우스웨스턴 선정 ‘신경과학 분야 우수 연구 교수(Distinguished Scholar of Neuroscience)’이며, 타카하시 교수와 과거에도 연구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해 왔다. 

8년 전 두 교수는 쥐를 이용한 칼로리 제한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쥐가 야행성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실험에 사용된 쥐들은 낮 시간에 주로, 그것도 일 주일에 세 번만 사료를 먹도록 연구가 설계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잘못 설계된 급식 프로토콜로 인해 연구진은 쥐의 정상적인 섭식 행태를 반영하지 못했다.   

이에 그린 교수와 타카하시 교수는 쥐가 정상적인 일일 생체 리듬에 맞춰 섭식하는 상태에서 진행되는 칼로리 제한이 쥐의 수명에 어떤 중요성을 갖는지 실험해 보고자 했다.

실험 대상 쥐는 각각의 다른 그룹으로 나누어 3가지 급식 요인(feeding factors)을 기준으로 무엇을 언제 먹는지에 변화를 주었다.   

첫 번째 요인은 칼로리 섭취량이었다. 대조군(control group)의 쥐들은 칼로리에 제한을 받지 않은 반면 나머지 5개 실험군에서는 쥐의 칼로리를 30%까지 제한했다. 

두 번째는 생체 리듬 정렬(circadian rhythm alignment)로 쥐의 먹이 공급 스케쥴을 쥐의 일반적인 생체 리듬에 맞춰 달리 설정하였다. 어떤 쥐들은 익숙한 활동 시간인 밤에만 먹었고, 어떤 쥐들은 낮에만 먹게 했다. 

세 번째 요인은 단식하는 시간, 즉 쥐들이 먹지 않고 지내는 시간이었다. 낮과 밤 실험군에서 일부 쥐들은 12시간 이상 간격을 두고 먹이를 먹었고, 나머지 12 시간 동안 금식했다. 다른 그룹의 쥐들은 하루치 급식량을 한 번에 주었더니 두 시간만에 폭식했다. 마지막 그룹의 쥐들은 단식없이 24시간에 걸쳐 먹이를 주었다. 

급식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연구진은 현실적인 난관에 부딪혔다. 밤낮없이 일일이 수동으로 먹이를 주다 보니 연구원들이 계속 연구실에 상주해야만 했다. 두 교수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급식기(feeder)를 자체 제작했다. 개별 쥐마다 맞춤 일정대로 미리 프로그램해 둔 시간에 사료가 나오도록 하는 전용 급식기 500대를 제작했는데, 이렇게 급식기를 고안하고 테스트하는 데에만 거의 2년이 걸렸다.

기술적인 문제가 해결된 이후 연구진은 실험에 사용된 모든 쥐의 수명을 측정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각 쥐에서 어떤 유전자가 발현됐는지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칼로리 섭취는 제한했지만 생체 리듬을 고려하지 않고 24시간에 걸쳐 급식했던 실험군의 쥐들은 대조군에 비해 수명이 10%만 연장되었다. 

반면 칼로리 섭취 제한을 하면서 12시간 간격으로 밤에만 급식했던 쥐들은 대조군에 비해 수명이 35% 길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각 실험군에는 동일한 사료량과 동일한 칼로리를 사용했다. 

이번 연구의 저자이자 타카하시 연구소의 포스트닥터 연구원인 빅토리아 아코스타-로드리게즈(Victoria Acosta-Rodriguez)는 “언제 먹는지가 쥐의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며 이는 전혀 예측하지 못한 결과라고 말했다. 클리블랜드 주립 대학(Cleveland State University)의 로만 콘드라토프(Roman Kondratov) 생물학 교수는 이번 연구가 수명 연장에 있어 단식의 역할에 대해 강력한 근거를 제공했다고 평했다. 

“단식이 칼로리 제한의 필수적인 요소라는 직접적인 근거를 최초로 제공한 연구라고 생각한다”라며, “칼로리 감소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일정 시간 동안의 단식이 동반된다면 그 효과는 더욱 커진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에서 가장 오래 산 그룹은 표준시간(standard time) 기준으로 저녁 6시부터 새벽 6시까지 급식했던 실험군이다. 

사람으로 치면 주로 깨어 있는 활동 시간대에 12시간 동안 제한된 칼로리를 섭취한 것과 같다.

그린 교수와 타카하시 교수의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가 ‘무엇’을, ‘언제’ 먹는지가 우리의 수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어느 정도의 해답을 제공했다. 

연구원들은 이제 “왜?”라는 중요한 후속 질문(follow-up question)의 열쇠를 푸는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정확히 쥐의 어떤 생체 시계 조절(clock-regulating) 장치 혹은 유전자가 수명 연장에 관여했는지를 밝혀 내는 것이 이번 결과를 사람에게 적용하기 위한 필수 선결 과제가 될 것이다.

먹는 습관을 통해 수명 연장의 비밀을 풀 게 될 날이 멀지 않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트렌드 매거진 카테고리

트렌드 매거진 목록
    사진출처_shutterstock텍사스 주택 소유자들이 주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재산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텍사스 트리뷴(Texas Tribune)분석에 따르면, 평균 주택 기준 연간 약 500달러의 절세 효과가 예상된다.그렉 애벗 텍사스 주지사는…
    리빙트렌드 2025-09-05 
    케이 리 본부장 / 마이클 윤 상무북텍사스 한인 커뮤니티의 주요 금융기관인 CBB뱅크(CBB Bank)가 새로운 리더십을 맞았다.지난 4월 부임한 마이클 윤 상무는 텍사스 지역 총괄 책임자로서, 달라스·캐롤튼 지점의 영업 전략, 고객 관리, 신규 사업 개발을 이끌고 있…
    리빙트렌드 2025-09-05 
     미 외식업계에 ‘K-치킨’ 열풍이 거센 가운데, 그 중심에 선 브랜드가 있다. 바로 BB.Q 치킨(BB.Q Chicken, 회장 윤홍근), 1995년 한국에서 시작해 전 세계 50개국 이상에 진출한 글로벌 프랜차이즈다. 미국 내에서 공격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
    리빙트렌드 2025-09-05 
     Pipas Imagery / Shutterstock.com전문 정리 컨설턴트 로렌 피츠(Lauren Pitts)는 “차고는 집에 들어서거나 나설 때 가장 먼저, 그리고 마지막으로 보게 되는 공간”이라며 “정리가 안 된 차고는 일상의 질서마저 흐트러뜨릴 수 있다”고 강…
    리빙트렌드 2025-09-05 
    사진출처_shutterstock자연을 사랑하지만 벌레와 불편한 잠자리는 부담스러운 당신에게 완벽한 선택이 있다. 바로 ‘글램핑(Glamping)’이다. ‘글래머러스(Glamorous)’와 ‘캠핑(Camping)’의 합성어인 글램핑은 자연 속에서 고급 숙소의 편안함을 누…
    리빙트렌드 2025-09-05 
    사진출처_shutterstock올해 하반기, 미국 주택 시장은 경제 지표들이 혼재된 가운데, 지역별로 매우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국적으로는 공급이 늘고 있지만, 일부 지역은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며 시장 양상이 크게 엇갈리고 있다.※ 고용 둔화 속 임금 상승 … …
    부동산파트너 2025-09-05 
    사진출처_shutterstock2025년 하반기, 텍사스 전역에서 주거 수요 확대와 인구 유입에 대응한 대규모 주택 단지 개발이 잇따르고 있다. 달라스·휴스턴·어스틴·포트워스 등 주요 대도시권과 교외 지역을 중심으로 수만 가구 규모의 신규 주택이 공급될 예정이며, 일부…
    부동산파트너 2025-09-05 
    사진출처_ shutterstock 3년 침체 끝 … D-FW 부동산 투자 ‘급반등’ 지난 3년간 조용했던 달라스-포트워스(D-FW) 부동산 투자 시장이 올해 상반기 급격한 회복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이 다시 돌아오고 있다.상업용 부동산 중개·컨설팅사인 캐나다 토론토 본사의…
    부동산파트너 2025-09-05 
    사진출처-shutterstock9월, 가을이 문을 두드리기 시작하는 달이다. 곧 다가올 가을 앞에서…  서늘한 공기와 짧아지는 해가 계절의 변화를 알릴 때 집 안에 따스한 색감과 포근한 질감을 더해주면, 바깥의 쌀쌀함과 대조되는 안락한 휴식 공간을 완성할 수 있다. 가…
    부동산파트너 2025-09-05 
    이번 9월호 새단지 컬럼 소개드릴 곳은 한국분이 많이 알고 계시고 또한 이 지역에서 이미 안정이 된 단지이지만 아직 뉴홈이 남아 있는 The Colony에 있는 The Tribute 단지이다.  이 단지는 2000년에 매튜 사우스웨트 회사가 개발을 시작하여, 2007년…
    부동산파트너 2025-09-05 
    수입품 가격 자극하며 연준 통화정책 제약… 소비자 실질 소득은 뒷걸음질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이후 지속적으로 미국의 무역 정책을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라는 기조 아래 재편해왔다. 특히 중국, 멕시코, 유럽연합, 캐나다…
    리빙트렌드 2025-08-01 
    대사관·영사관 사칭 스푸핑 사기, 북텍사스 한인사회 강타공식 전화번호·정교한 위조 문서·유창한 한국어까지 … 누구든 피해자가 될 수 있다 “대한민국 대사관입니다. 귀하 명의로 구속영장이 발부됐습니다.”달라스에 거주하는 한인 A씨는 지난 7월 초, 평범한 일…
    리빙트렌드 2025-08-01 
    ※매수자는 주저하고 매도자는 버티며, 건설업체는 각종 혜택을 내세우는 상황 달라스-포트워스(DFW) 지역의 주택 시장은 매수자와 매도자 모두에게 압박을 가하고 있다. 중간 주택 가격은 하락하고 있지만, 고가 주택은 좀처럼 팔리지 않는다. 주택은 작년보다 …
    부동산파트너 2025-08-01 
    식초는 친환경적이고 다양한 용도에 활용할 수 있는 청소용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유리 세정제, 섬유 유연제, 탈취제 등 상업용 제품의 대체제로 충분한 효과를 보이지만, 모든 청소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만능 해결책은 아니다. 특히 소독제처럼 살균력이 필요한 경우나…
    리빙트렌드 2025-08-01 
    달라스에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서 시원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풀 바(pool bar)’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달걀을 프라이팬이 아닌 도로에서 구울 수 있을 정도로 뜨거운 날씨가 이어지는 가운데, 시원한 물속에서 즐기는 칵테일 한 잔은 더위를 잊게 해준…
    리빙트렌드 2025-08-01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