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매거진

[소피아 씽의 단지탐방] “북텍사스로 이주하려는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몇 가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부동산파트너 댓글 0건 작성일 24-05-07 22:28

본문

b422222187bd393cfd6b3ca5ad6416d7_1715138802_33.jpg
b422222187bd393cfd6b3ca5ad6416d7_1715138802_76.jpg
b422222187bd393cfd6b3ca5ad6416d7_1715138832_04.jpg
 

텍사스가 전국에서 가장 인구유입이 많은 곳이라는 기사가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져 나온다. 특히 북텍사스에서는 프라스퍼와 셀라이나, 맥키니, 애나, 프린스턴 등 380번 도로 위쪽의 도시들이 전국에서 이주민들이 가장 많이 찾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집 구하는 문제와 관련해서 오는 문의 중 상당수는 멀리 타주에서부터 이들 지역이 살기 어떠하냐는 내용이다. 학군은 어떠하며 한국 식료품점과의 거리는 어떻게 되는지, 전체적인 환경은 어떤지 등 신도시에 대해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캘리포니아와 뉴욕, 일리노이 등 타주에서 또는 한국에서 북텍사스 신도시로 이주를 고민하고 있는 한인들을 위한 몇 가지 궁금증을 문답형식으로 풀어보겠다.

 

Q: 요즘 인기있는 지역은 어떤 곳이며, 왜 사람들이 그곳으로 이사를 가는가?

A: 앞서 언급했듯 380번 도로 북쪽으로 덴튼 카운티와 콜린 카운티에 위치한 도시들이 요즘 인기가 많다.  

도시로 보면 프리스코와 맞닿은 프라스퍼를 비롯해 그 주변으로 셀라이나와 맥키니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많으며, 이들 중에는 타주에서 유입되는 인구도 있지만, 기존에 캐롤튼이나 루이스빌 등 남쪽에 살다가 학군이나 환경을 고려해서 이사하는 경우도 많다.

프라스퍼의 경우 도시는 아주 작지만 학군이 우수해서 너도나도 입주하려고 하는 곳이고, 셀라이나는 고속도로와 종합병원 등 인프라가 들어서며 ‘제2의 프리스코’로 성장하고 있다. 

맥키니는 프라스퍼와 인접한 지역이 프라스퍼 학군에 속해서 인기가 있고, 애나와 프린스턴, 멜리사 등 그 주변도시에는 대규모 주택단지들이 새롭게 조성되고 있다.

 

Q: 텍사스는 재산세가 높다던데, 세금과 관련해서 알아야 할 것이 있는가?

A: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앞서 언급한 신도시들의 재산세는 대략 1.8%에서 2.8% 사이다.  

도심에서 먼 곳은 경우에 따라 재산새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바로 MUD 또는 PID 같은 특별세금이 붙기 때문이다. 

MUD(Municipal Utility District)나PID(Property Improvement District)는 그 성격이 비슷하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시에서 도로나 전기 같은 기간시설을 준비해주는 대신 민간이 이 작업을 대신하는 것인데, 주민들이 수십년에 걸쳐서 이 자금을 조금씩 갚아가는 것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빠르게 유입되면서 부동산 개발업체들은 아직 도로도 뚫리지 않은 땅에 집을 지어야 했다. 아직 시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곳이지만, 앞으로 발전할 지역이기에 개발업체들은 이런 곳을 선점해 주택단지를 개발하고 입주민들은 수십년에 걸쳐 기간시설 설치비를 세금처럼 납부하는 것이다.이는 절대 좋다 또는 나쁘다의 문제가 아니라 그냥 단지마다 있을 수 있는 차이라고 보면 된다. 

MUD나 PID 비용이 발생하는 집들은 집 가격이나 공동 관리비인 HOA Fee가 상대적으로 조금 낮은 편이라서 이를 상쇄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이런 특별세금이 없는 경우 재산세가 보통 1.8%에서 2.2% 사이라고 보면 된다. 참고로 텍사스에서는 주 소득세(State Income Tax)가 면제된다.

 

Q: 한인타운과의 거리는 얼마나 되나?

A: 이들 지역은 한인타운과 거리가 조금 있는 편이다.  

고속도로를 타면 20~30분 거리이고, 그렇지 않으면 30~40분 거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음식점을 비롯한 소매점들이 점점 북쪽으로 이동하는 추세라서 이 지역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한인들은 별다른 불편함 없이 생활하고 있다.

특히 앞으로 380번 도로 바로 남쪽에 Universal Theme Park이 들어서면 더 많은 아시안 음식점과 소매점들이 문을 열 것으로 예상된다.

 

Q: 텍사스 집에는 정말 지하실이 없나?

A: 다른 지역은 몰라도 최소한 DFW 지역에는 지하실이 있는 집이 거의 없다.  

샌안토니오의 경우 몇몇 집들이 지하실이 있기는 해도 대부분 집 자체를 2층에서부터 시작했기 때문에 지층이 지하실처럼 여겨지는 집들이 있을 뿐이다.

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고 하는데, 우선 침수우려 때문이라고 한다. 토양 자체가 지하실을 만들기에 적당하지 않다는 말도 있지만 이 모든 것은 전문가의 의견이 더 정확하다. 그리고 워낙 땅이 넓기 때문에 아래로 파는 것보다 위로 올리거나 옆으로 더 짓는 게 비용면에서 효율적이고 기술적으로도 유리해서 지하실이 없다는 말도 있다.

대신 텍사스 집에는 일반적인 ‘방’ 외에도 여러가지 방이 존재한다. 거실이 여러 곳인 집도 있고, 식당이 한 군데 이상인 집도 있고, 서재와 영화관 등 침실 외에도 다양한 공간이 집 안에 있어서 굳이 지하실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Q: 텍사스에는 토네이도가 온다는데, 날씨는 어떠한가?

A: 연중 절반이 여름이라고 할 정도로 더운 날이 많다. 

하지만 어디에 가든 냉방시설이 잘 되어 있어서 실내에 들어가면 한여름에도 겉옷을 걸쳐야 할 정도로 시원하다. 

더위보다 사람들을 더 피곤하게 만드는 것은 들쭉날쭉한 날씨인데, 텍사스에는 일주일에 사계절이 다 있다고 할 정도로 날씨변화가 심하지만, 적응되면 나름대로 재미있다.

비가 적은 편이고 특히 여름에는 강우량이 정말 적다. 

하지만 4월에서 5월은 우기로, 비가 제법 내리고 천둥번개를 동반한 폭풍이 있으며, 이 때 토네이도가 발생하기도 한다. 

단, 허리케인과 달리 토네이도는 상당히 국지적이라 그 경로에 있지만 않오면 문제는 없다. 

정작 골치 아픈 것은 우박인데, 차는 차고에 넣어두면 상관없지만 지붕은 피해를 입는 경우가 아주 가끔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트렌드 매거진 카테고리

트렌드 매거진 목록
    “요즘 어느 지역이 좋아요?”, “살기 좋으면서 학군도 좋은 지역이 있나요?”, “안전하면서 복잡하지 않고 좀 여유로운 지역은 어디죠?”, “요즘 괜찮다는 곳은 거의 다 포화상태인데 그래도 새로 집을 짓는 곳이 있나요?” 요즘 많이 들어오는 문의사항이다. 아무래도 쾌적…
    부동산파트너 2024-06-06 
    인플레이션이 쉽게 잡히지 않는 가운데 고용시장의 열기도 견조한 지표 아래 식지 않는 것처럼 보였고, 연방준비제도가 목표로 하는 2% 대 물가 달성도 요원해 보였다. 이에 따라 연내 금리 인하의 기대가 점점 멀어져가고 있었고 심지어 금리동결을 넘어 금리인상에 대한 예상이…
    리빙트렌드 2024-06-06 
    2023년에 미국인 260만명이 투자 사기, 온라인 사기, 사칭 사기 등에 속아 무려 100억달러에 달하는 피해를 입었다고 연방당국이 발표했다. 1인당 평균으로는 7700달러에 이르며 전년보다 10억달러(14%)나 늘어난 금액이다. 이는 각종 사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더…
    리빙트렌드 2024-06-06 
     DFW 내에 있는 수많은 실내 및 실외 놀이터가 있지만, 영유아 아이들이 즐겁고 안전하게 놀 수 있는 놀이터를 찾기란 쉽지 않다. 아래 소개되는 DFW 놀이터 6곳은 곤충 테마의 놀이 기구부터 어드벤처 원더랜드까지 다채로운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다. 관심 있는 놀이터를…
    리빙트렌드 2024-06-06 
     꽃꽂이에 자신이 없어 꽃집에서 파는 꽃다발을 그대로 사용하는 꽃꽂이 초보자들이 있다면, 아래 소개되는 아이디어들에 주목하라. 초보자들도 따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쉽고, 창의적이면서도 아름다운 꽃꽂이를 완성할 수 있다. 꽃은 어떤 장소에서도 빛을 발하는 좋은 인테…
    리빙트렌드 2024-06-06 
    맛있는 라면국물이 환경을 오염시킨다고? 한국인이 사랑하는 음식이라고 하면 불고기와 비빔밥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서민적이어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음식이 바로 라면이다. 한국 사람들은 전세계에서 인스턴트 라면을 가장 많이 먹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을 만큼 라…
    리빙트렌드 2024-06-06 
    1. 과다루페 성당(Cathedral Shrine of the Virgin Guadalupe) 방문하기 달라스에서 가장 오래된 가톨릭 성당이 아트 디스트릭 중앙에 위치해 있다. 성당의 초석은 1898년에 처음 놓였으나 1902년이 되어서야 공식적으로 헌정되게 된다. 건…
    리빙트렌드 2024-06-06 
     모기지 금리 상승, 주택 가격 상승, 기록적으로 낮은 주택 재고 상황은 주택 구매자들이 올 봄과 그 이후에도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라고 전문가들은 전한다.Fannie Mae의 수석 부사장 겸 수석 이코노미스트 더그 던컨(Doug Duncan)은 "주택 …
    부동산파트너 2024-05-07 
    3월 북텍사스 주택판매 7% 감소, 반면 주택 중간 가격은 1.3% 상승 지난 3월 북텍사스의 주택판매는 7% 감소했지만 가격은 지난해 수준보다 소폭 상승했다.텍사스 A&M 대학의 텍사스 부동산 연구 센터(Texas Real Estate Research Center),…
    부동산파트너 2024-05-07 
    상업용 부동산 공실율 악화 … 올해 말 9000억 달러 대출 만기 도래전국적으로 상업용 부동산(CRE) 공실률이 지속적으로 악화하고 있다. 대규모 가격재조정 파고에 시달리면서 매물로 나온 오피스 가격이 급락하는 등 위기가 지속되고 있다. 부동산서비스 기업 ‘세빌스’에 …
    부동산파트너 2024-05-07 
     ▣ 북텍사스 인구 증가 전국 주도  지난해 DFW 지역의 인구 증가가 전국을 주도했다.연방 인구조사국의 새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DFW지역에 15만 2천명 이상의 신규 거주자가 추가됐다. 이 같은 1년간 인구 증가는 머스큇 시만한 도시를 추가하는 것과 같다.DFW지…
    부동산파트너 2024-05-07 
     올 한 해 벽지의 인기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디자인의 모든 영역에 걸쳐 우리는 패턴과 텍스처가 다양해지는 현상을 보고 있다. 이것은 집 분위기를 좀 더 가정적이고, 아늑하게 만들어 일상의 행복감을 한층 더 높여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즉, 다양한 벽지 옵션들과 인테리…
    부동산파트너 2024-05-07 
     텍사스가 전국에서 가장 인구유입이 많은 곳이라는 기사가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져 나온다. 특히 북텍사스에서는 프라스퍼와 셀라이나, 맥키니, 애나, 프린스턴 등 380번 도로 위쪽의 도시들이 전국에서 이주민들이 가장 많이 찾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집 구하는 문제와 관련…
    부동산파트너 2024-05-07 
      미국 경제와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한 전문가들의 예측이 엎치락 뒤치락하고 있다. 금리 인하를 결정하는 연방준비제도의 제롬 파월 의장마저도 경제 지표에 따라 매파에서 비둘기파로 또 다시 매파로 입장이 시시각각 변경되는 모양새이다. 전문가들과 경제매체들도 어제는 경착륙을…
    리빙트렌드 2024-05-07 
    인공지능(AI)이 여러 분야에서 사람의 역할을 대체하면서 이미 세상에는 거대한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 이미 생산 자동화 시스템은 제조 공정의 대부분을 자동화하여 생산라인 작업자의 일자리을 줄였다. 또한 자동화된 ATM과 온라인 뱅킹 시스템은 은행 창구업무를 대체하고 있…
    리빙트렌드 2024-05-07 

검색